개요
Antakya (튀르키예어, 안타키아)
Ἀντιόχεια (그리스어, 안디오히아)[1]
Antiochia (라틴어, 안티오키아)
Antioch (영어, 앤티옥/앤티악)
현대 튀르키예 남부의 도시. 역사가 오래된 도시로, 고대의 정식 명칭은 '오론테스 강변의 안티오키아' 혹은 '시리아의 안티오키아'이다. 왜냐하면 이름이 안티오키아인 도시가 한둘이 아니기 때문.[2] 가령 오늘날 튀르키예의 가지안테프(Gaziantep)의 헬레니즘 시절 명칭은 '타우루스 산맥의 안티오키아(Antiochia ad Taurum)', 아다나는 '킬리키아의 안티오키아(Antiochia in Cilicia)'였다. 물론 이것은 헬레니즘 시대 이야기이고, 로마 시대 이후로는 상관없다.[3] 헬레니즘 시기에는 안티오케아라는 도시가 다수 지어져 이란 서부의 나하반드 역시 고대에는 안티오키아 페르시스였을 정도이다.
고대 시리아 지역의 중심지였다는 역사적 설명 때문에 착각하기 쉬운데, 현재 안타키아는 시리아가 아니라 튀르키예 땅이다.[4] 현재 다마스쿠스를 중심으로 하는 시리아 국가의 영역은 고대에는 코엘레 시리아(Coele-Syria)[5]라고 불렸으며, 안티오키아를 중심으로 한 지역이 시리아[6]였다. 하지만 우마이야 왕조가 다마스쿠스를 수도로 정한 이래[7] 점차 지역 중심지의 자리를 다마스쿠스에게 내주기 시작하면서 자연히 시리아 지역의 범위도 변하였다.
찬란한 역사와 비례하여 유달리 참혹한 지진 피해를 자주 입은 지역으로도 유명하다. 이 지역 근처로 동아나톨리아 단층이 지나가기 때문이다.
고대 로마 시대
도시 규모와 상징성, 경제력이 대단해진 만큼, 유흥 문화 역시 수도 로마에까지 알려졌다. 그 대표적인 것이 안티오키아식 서커스였는데, 이 경기와 경기장 시설 규모는 로마인들에게 다른 로마 경마, 전차 경기와 다른 스타일로 그 명성이 대단했다. 이 외에도 여러 황제들은 이 도시에 빵과 서커스를 황제 이름으로 하사하기도 했고, 지진 등의 피해가 일어날 경우 로마 황제의 이름으로 원로원 의원들이 진상파악을 위한 대표로 파견될 정도로 그 위상이 엄청났다.
로마 공화정 후기와 제정 시대의 로마 권력자들, 특히 황제들에게 있어 안티오크의 중요성은 대단했다. 로마 황제들은 안티오키아 내에 여러 공공건축물을 지어줬고, 안티오키아에 부임한 총독에게는 중근동 및 레반트, 아르메니아와 파르티아, 사산왕조 페르시아와의 일로 벌어지는 일의 사관 역할이 부과됐다. 당연한 이야기인데 로마 제국 속주 총독 중 지중해 동쪽 관할을 총책임지는 속주 총독의 '꽃'인 시리아 코일레 속주(시리아 속주) 총독이 머무는 총독 관저, 사저가 위치했다. 따라서 로마 시대의 여러 기록을 보면, 동방에서의 주요 국방, 외교 문제에 안티오키아라는 이름으로 꾸준히 언급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이런 기록처럼 로마 황제들에게 있어 특정인사를 안티오키아로 파견한다는 이야기는 그에게 동방 문제를 맡긴다는 정치적 상징성이 대단했다.
그러나 그냥 대도시가 아닌 중동에 위치한 대도시였던지라,결국
이곳이 그리스도교도들의 본거지가 되어 로마 제국 내 다른 곳들로 기독교를 퍼뜨리는 교두보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50만 명에 달하던 이 거대한 도시는 강력한 지진으로 궤멸적 타격을 입었다. 안티오키아에는 여러 번 지진이 일어났으나 그중 가장 피해가 컸던 지진은 서기 115년에 일어난 대지진으로, 당시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는 파르티아 원정을 위한 행군 도중 안티오크에 머물다 대지진을 경험했다. 이 원정에는 트라야누스의 양아들이자 후계자 하드리아누스도 참가했기에 최악의 경우 자연재해로 로마 황제와 그 후계자가 동시에 사망하는(!) 초유의 사태가 일어날 뻔했으나, 다행히도 두 사람 모두 별 상처 없이 무사히 탈출했다. 하지만 일반 시민들은 그렇지 못해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최대 26만 명에 달한다고 추정된다.[11][12] 전승이 아닌 실제로 역사적 기록이 많이 남아있는 지진이며, 현재의 건물과는 달리 석조를 쌓아 만들었던 로마 건물의 특성상 많은 사람들이 생매장당하고 말았다.[13] 그래서 현대에 고고학자들이 안티오크를 발굴하니까 발굴된 거의 모든 모자이크가 이 115년 대지진 이후에 만들어진 모자이크였다고 한다. 이후 많은 로마 황제들이 이 도시를 재건하기 위해 도시 이름을 바꾸기도 하고, 공중 토건 사업을 진행하는 등 노력했으나 이후 서서히 쇠락했다. 대중의 인식과는 달리 실제로는 수백 년에 걸쳐 천천히 쇠락했는데, 이유는 후술하는 항구 기능의 쇠퇴와 관련이 깊다.
[1] 헬레니즘 시절의 코이네 발음으로는 안티오키아라고 불렸다. 그러다가 고대 로마 후기, 중세 로마(동로마) 시대가 되면서 중세 그리스어로 변하면서 음운이 여럿 바뀌었는데 이 발음이 거의 현대까지 이어지고 있다. 암튼 여기에서는 'ντ'(nt)처럼 ν(n) 뒤에 τ(t)가 올 때는 고대까지의 'ㅌ' 발음에서 'ㄷ'발음으로 바뀌었고, χ(ch)의 음가가 'ㅋ'과 'ㅎ'이 섞여서 한국어로 정확히 표기할 수 없기는 하지만 어쨌든 고대까지는 'ㅋ'음가가 우세해서 편의상 'ㅋ'으로 쓰는 반면, 중세부터는 'ㅎ'음가가 우세해져서 편의상 'ㅎ'으로 표기한다.
[2] 안티오키아라는 지명은 그리스 인명 안티오코스에서 나왔다. 디아도코이들 중 안티오코스 3세를 포함하여 여러 헬레니즘계 군주들이 자기 이름을 도시에 붙였다. 그러니 알렉산드리아(동음이의어)와 마찬가지로 동명의 도시가 여럿 생긴 것이다.
[3] 현대에 안티오크라는 지명을 봤다면 100% 여기에서 딴 것이다.
[4] 다만 시리아와의 국경지대에 꽤 가깝다. 실제로 1차 대전 이후에는 프랑스령 시리아에 속해있다가 하타이 국을 거쳐 1939년 튀르키예 영토가 되었다. 그래서인지 지금도 아랍인 비중이 매우 높고 문화도 아랍풍이다.
[5] 대강 레반트의 중부지역.
[6] 대강 레반트의 북부지역. 참고로 남부지역은 유대(팔레스타인)이다.
[7] 안티오키아는 동로마와의 국경지대에 너무 가까워서 수도로 삼기에 부적합했다는 점과, 그리스도교 5대 총대주교좌가 있었고 더 거슬러 올라가면 셀레우코스 제국의 수도이기도 했어서 그리스-로마-기독교의 잔향이 너무 짙었던 점이 작용했다.
[8] 안티오키아가 쇠퇴하고 1300여년이 지난 현대의 안타키야보다도 인구가 갑절쯤 많다. 물론 인구 30만 명이면 중국이나 인도같이 인구가 극단적으로 많은 나라가 아닌 이상 웬만한 국가의 중견급 도시지만, 고대의 안티오키아에 비하면 현대의 안타키야의 위상은 매우 초라하다.
[9] 사도행전에 따르면 그리스도교 신자들이 처음 '그리스도인'이라고 불린 곳이 안티오키아였다고 한다.
[10] 주요 도시와 주요 도로망이 표시되어 있다.
[11] 원래 있던 시민에 더해서 황제 행차를 수행하러 온 군대와 민간인까지 변을 당해서 피해가 더 컸다는 이야기도 있다.
[12] 사실 남유럽 전체 피레네 산맥-남프랑스-알프스산맥-달마티아-발칸반도-소아시아(아나톨리아)는 아프리카 판과 유라시아 판의 경계로서 알프스-히말라야 조산대를 이루며, 환태평양 화산대 다음으로 지진과 화산이 많다.
[13] 한 그리스인은 공회당에서 사망한 사람들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해 테이블에 앉은 순서를 떠올려가며 훼손된 시신의 신원을 확인했다고 하는데, 이를 응용해 기억술이라는 분야를 발전시켰다.
'더 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스피(KOSPI) 코스닥(KOSDAQ) (5) | 2025.07.25 |
---|---|
오소리 badger (0) | 2025.07.24 |
AI(인공지능)시대와 자기주도학습 (1) | 2025.07.17 |
Mamma mia "세상에, 맙소사 ! " (1) | 2025.07.15 |
phlegm [ flem ] 가래, 담 (1) | 2025.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