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 1. 전국 [전 세계]적인 유행병
형용사 1. a pandemic disease 전국[전 세계]적인 질병
세계적유행, 세계적유행의 世界的流行
세계보건기구(WHO)는 감염병의 위험도에 따라 감염병 경보단계를 1∼6단계까지 나누는데,
팬데믹은 최고 경고 등급인 6단계에 해당한다. 팬데믹은 특정 질병이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것으로, 이를 충족시키려면 전염병이 특정 권역 창궐을 넘어 2개 대륙 이상으로 확산되어야 한다.
6단계에 앞서 1단계는 동물에 한정된 전염, 2단계는 동물 간 전염을 넘어 소수의 사람에게 전염된 상태, 3단계는 사람들 사이에서 전염이 증가된 상태, 4단계는 사람들 간 전염이 급속히 확산되면서 세계적 유행병이 발생할 초기 상태, 5단계는 전염이 널리 확산돼 최소 2개국에서 병이 유행하는 상태다.
그리고 6단계인 팬데믹은 5단계를 넘어 다른 대륙의 국가에까지 추가 전염이 발생한 상태로, 인류 역사상 팬데믹에 속한 질병은 14세기 중세 유럽을 거의 전멸시킨 '흑사병(페스트)', 1918년 전 세계에서 5000만 명 이상의 사망자를 발생시킨'스페인 독감', 1968년 100만 명이 사망한 '홍콩 독감' 등이 있다.
특히 WHO가 1948년 설립된 이래 지금까지 팬데믹을 선언한 경우는 1968년 홍콩독감과 2009년 신종플루 등 두 차례뿐이다.
홍콩독감(1968)
1968년 홍콩에서 처음으로 발생한 독감으로, 호흡기 증상과 오한, 발열, 근육통, 무기력증 등을 동반한 감염병이다. 이 독감이 지속된 6개월여 동안 홍콩은 물론 베트남·인도· 필리핀 등 주변 아시아 국가를 넘어 호주, 아프리카, 남미, 유럽으로 확산되면서 전 세계에서 100만 명 이상이 사망했다.
신종플루(2009)
2009년 봄 멕시코에서 시작돼 이후 미국을 넘어 전 세계로 확산된 감염병이다. 초기에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된 돼지를 통해 발생했기 때문에 '돼지독감'으로 불렸다. 당시 신종플루는 214개국에서 발병해 전 세계적으로 1만 8500명이 사망했는데, 우리나라에서도 75만 명이 감염돼 250여 명이 사망한 바 있다. 그러나 신종플루는 항바이러스제인 타이플루가 치료제로 사용되면서 현재는 신종플루가 아닌 A형독감으로 불리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팬데믹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네이버 지식백과] 사스와 메르스가 다른 종을 감염시킨 방법 (미국국립보건원 NIH)
'자료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팜에 혁신 DNA (0) | 2020.03.24 |
---|---|
ARS(OUT-bound,In-bound) 투표 (0) | 2020.03.18 |
CCRC 은퇴자주거복합단지 (0) | 2020.03.04 |
DUR(의약품 안전사용서비스) Drug Utilization Review) (0) | 2020.03.04 |
'코호트 격리(Cohort Isolation) (0) | 2020.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