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 소개

Taliban 탈레반 burka 부르카

요약 1994년 아프가니스탄 남부 칸다하르주()에서 결성된 무장 이슬람 정치단체로서 1996년부터 2001년까지 아프가니스탄을 지배한 세력이다.

 

(사진설명)아프가니스탄의 아슈라프 가니 대통령이 지난 2021년8월15일 국민을 버리고 우즈베키스탄으로 도피한 뒤 대통령궁을 접수한 무장 탈레반 대원들이 집무실을 차지하고 있다. 이날 대통령궁엔 탈레반 깃발이 걸렸다. 2014년부터 대통령직을 수행한 가니는 2006년 유엔 사무총장에도 출마했다. [AP=연합뉴스]
[출처: 중앙일보] “비행기 태워달라” 카불 공포의 대탈출

구분: 무장 이슬람 정치단체
설립닐: 1994년 10월
설립목적: 이슬람공화국 건설
주요활동: 과도정부 수립 및 이슬람공화국 선포, 급진적 이슬람정책 수행
업무소재지: 아프가니스탄 칸다하르

 

1994년 10월, 2만 5,000여 명의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아프가니스탄 남부 칸다하르에서 결성한 수니파() 무장 이슬람 정치조직을 가리킨다. 결성 당시부터 군정세력으로 출발하여, 1994년 아프가니스탄 국토의 80% 정도를 장악하였다. 1995년 초 국방장관 마수드(Massoud)에 의해 조직이 와해될 뻔 하였으나, 1996년 파키스탄에서 군사지원,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재정지원을 받아, 수도 카불(Kabul)을 점령하고 정권을 수립하였다. 이로써 14년간 계속된 아프가니스탄 내전과 4년 동안의 모자헤딘(Mojahedin:무장 게릴라 조직) 권력투쟁을 종식시켰지만, 이러한 탈레반에 저항하는 북부동맹이 새로 결성되었다.

탈레반은 과도정부인 이슬람공화국을 선포하면서 결속력 있는 세력으로 등장한 후, 아프가니스탄 내 반군 조직을 무장해제시키고 약탈과 강도, 부정 부패를 없애는 데 힘을 쏟는 한편, 일상 상업 활동을 재개함으로써 전통적인 아프가니스탄 가문의 지지를 얻었다.

그러나 내전이 계속되면서 국가 접수()가 어려워지자 지역 지휘관들과 전략적 협정을 체결, 지역에서 일어나는 심각한 위법 사항과 이에 따른 각종 인권침해를 도외시함으로써 많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더욱이 이슬람교에 대한 엄격한 해석으로 인해 갈수록 사회 차별이 심해지고, 여학교 폐쇄, 텔레비전 금지, 가혹한 이슬람식 처벌제도 부활, 아동 학대 등 많은 부작용을 낳음으로써 국제사회의 비난을 샀다. 또 2001년 3월에는 군대를 동원해 로켓과 탱크 등으로 아프가니스탄 내 불교 유적불상들을 부수는 등 유례 없는 유적 파괴 행위를 공개적으로 일삼기도 하였다.

2001년 9월 11일 발생한 미국대폭발테러사건의 배후자인 사우디아라비아 출신의 국제 테러리스트 오사마 빈 라덴(Osama bin Laden)과 그의 추종 조직인 알 카에다(Al-Queda)를 숨겨둔 채 미국에 인도하지 않음으로써 미국과 동맹국들의 반발을 산 끝에 결국 아프가니스탄 전쟁이 일어났다.

같은 해 10월 7일부터 시작된 미군과 영국군의 합동 공격으로 인해 대부분의 공군기지와 지휘본부, 방공망과 방송시설이 파괴되었음에도 여전히 빈 라덴을 인도하지 않고, 계속 항쟁 의지를 밝히면서 성전(: 지하드)을 촉구하였다.

그러나 2001년 11월 탈레반 정권이 무너지고 여러 정파가 참여한 임시정부가 구성되었으며, 탈레반은 파키스탄과의 접경지역으로 도피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탈레반 [Taliban] (두산백과)

 

부르카(burka)

                                                   부르카를 입은 아프간 여인들. 중앙DB

 

부르카는 신체의 모든 부위를 가리는 전통 여성 복장으로 눈 부위도 망사 형태로 밀폐된다. 눈만 드러난 니캅, 얼굴이 드러나는 히잡 등과 비교해 가장 보수적인 복장이다. 지난해까지 200AFS(약 3000원)가량이었던 부르카의 가격은 현재 2000~3000AFS에 팔리고 있다. 탈레반이 집권하면 부르카 작용을 강제할 거라는 예측이 가파른 가격상승으로 나타나고 있다.                                   [출처: 중앙일보] '부르카' 10배 비싸도 입는다…탈레반 복귀에 치떠는 여성들

'자료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계 5015’ (2016년2월8일 한국일보 기사)  (0) 2021.09.27
축구의 포지션  (0) 2021.08.31
dystopia 디스토피아  (0) 2021.08.08
아베 마리아 Ave Maria  (0) 2021.08.06
김연경-인기 인터넷 ‘밈’(meme)  (0) 2021.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