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고려 |
고려 때의 농민 반란의 지도자. 1170년의 무신의 난 후 사회가 혼란할 때 같은 공주(公州) 명학소(鳴鶴所)의 천민 망소이(亡所伊)와 함께 1176년(명종 6) 굶주린 농민을 모아 자칭 산행 병마사(山行兵馬使)라 하며 난을 일으켜 공주를 함락했다. 조정의 선유(宣諭)에 응하지 않고 조정에서 보낸 3천 명의 토벌군에 타격을 주었다. 이에 조정은 회유책을 써서 명학소를 충순 현(忠順縣)으로 승격시키고, 현령과 현위를 보내어 위무케했으나 이에 응하지 않고, 예산(禮山)을 공략하여 감무(監務)를 살해했다. 이에 대장군 정세유(鄭世猷)ㆍ이부(李夫) 등이 토벌에 나서자 이듬해 1월 일단 항복, 조정으로부터 처벌당하지 않고 곡식을 받은 후 고향으로 호송되었다. 2월에 다시 난을 일으켜 직산(稷山)와 홍경원(弘慶院)을 불태우고 중 10여 명을 살해한 후 아산(牙山)을 점령하고 청주(淸州)를 위협했다. 이에 조정에서는 토벌군을 독려하기 위해 선지 사용 별감(宣旨使用別監)을 파견, 충순 현을 명학소로 환원하고 총 공격을 했다. 이때 반란군은 식량과 병기의 부족이 심했고 또한 농번기를 당하여 도망가는 농민의 수가 증가하는 등 정세가 불리하게 되자 망이ㆍ망소이 등은 정세유에게 항복, 청주옥(淸州獄)에 갇힘으로써 난은 1년 반만에 끝났다.
출처
망이(亡伊)
생졸년 미상.
1176년(고려 명종 6) 1월에 동생 망소이(亡所伊)와 함께 ‘산행병마사(山行兵馬使)’라 자칭하며 공주(公州) 명학소(鳴鶴所; 지금의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지구 일대)를 중심으로 천민의 신분해방을 위해 봉기하여 공주를 함락시켰다. 조정에서 보낸 지후(紙侯) 채원부(蔡元富)와 낭장(郞將) 박강수(朴剛壽)의 설득에 응하지 않았고, 2월에는 대장군 정황재(丁黃載)의 3천 군사를 대적하였다. 6월에 조정에서 무력진압 대신 천민부락인 명학소를 충순현(忠順縣)으로 승격시키고 현령(縣令)을 파견하는 등 회유책을 썼으나, 오히려 예산(禮山)을 공략해서 감무(監務)를 살해하고, 충주(忠州)까지 점령하였다.
1177년(고려 명종 7) 1월에 대장군 정세유(鄭世猷)가 남적처치병마사(南賊處置兵馬使)로서 대대적으로 공격해 오자 강화를 요청하여, 처벌 대신 곡식까지 나누어 받고 고향으로 압송되었다. 그러나 조정에서 다시 군대를 보내 그들의 가족들을 가두자 2월에 다시 난을 일으켜 서산(瑞山)의 가야사(伽倻寺)를 점거하고 3월에는 직산(稷山)의 홍경원(弘慶院)을 불태워 승려 10여 명을 죽이고 아산(牙山)까지 점령함으로써 청주목(淸州牧)만을 제외하고 이 지역의 모든 군현(郡縣)을 점령하였다. 그러나 관군의 전면적인 토벌작전에 끝까지 대응하지 못하고 7월에 망소이와 함께 붙잡혔다. 비록 고려 무신집권기에 중앙의 통제력이 약화되었다 하더라도 천민의 신분으로 절대권력에 대항하여 신분질서를 타파하려고 했던 점과 이후 특수행정구역인 소(所)가 해체되는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2006년 3월에 대전광역시 서구청에서 망이‧망소이기념탑을 세웠다.
1176년(고려 명종 6) 1월에 동생 망소이(亡所伊)와 함께 ‘산행병마사(山行兵馬使)’라 자칭하며 공주(公州) 명학소(鳴鶴所; 지금의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지구 일대)를 중심으로 천민의 신분해방을 위해 봉기하여 공주를 함락시켰다. 조정에서 보낸 지후(紙侯) 채원부(蔡元富)와 낭장(郞將) 박강수(朴剛壽)의 설득에 응하지 않았고, 2월에는 대장군 정황재(丁黃載)의 3천 군사를 대적하였다. 6월에 조정에서 무력진압 대신 천민부락인 명학소를 충순현(忠順縣)으로 승격시키고 현령(縣令)을 파견하는 등 회유책을 썼으나, 오히려 예산(禮山)을 공략해서 감무(監務)를 살해하고, 충주(忠州)까지 점령하였다.
1177년(고려 명종 7) 1월에 대장군 정세유(鄭世猷)가 남적처치병마사(南賊處置兵馬使)로서 대대적으로 공격해 오자 강화를 요청하여, 처벌 대신 곡식까지 나누어 받고 고향으로 압송되었다. 그러나 조정에서 다시 군대를 보내 그들의 가족들을 가두자 2월에 다시 난을 일으켜 서산(瑞山)의 가야사(伽倻寺)를 점거하고 3월에는 직산(稷山)의 홍경원(弘慶院)을 불태워 승려 10여 명을 죽이고 아산(牙山)까지 점령함으로써 청주목(淸州牧)만을 제외하고 이 지역의 모든 군현(郡縣)을 점령하였다. 그러나 관군의 전면적인 토벌작전에 끝까지 대응하지 못하고 7월에 망소이와 함께 붙잡혔다. 비록 고려 무신집권기에 중앙의 통제력이 약화되었다 하더라도 천민의 신분으로 절대권력에 대항하여 신분질서를 타파하려고 했던 점과 이후 특수행정구역인 소(所)가 해체되는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2006년 3월에 대전광역시 서구청에서 망이‧망소이기념탑을 세웠다.
[참고문헌]
高麗史節要
朝鮮人名辭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
朝鮮人名辭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
[집필자]
고윤희
'자료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도미사일이란? Ballistic Missile(영어) (0) | 2022.11.02 |
---|---|
명복을 빕니다 (0) | 2022.10.30 |
슈룹:'우산'의 우리 옛말 (0) | 2022.10.07 |
아마겟돈 Armageddon (3) | 2022.10.07 |
'인플레이션 감축법안(IRA, Inflation Reduction Act 2022)' (0) | 2022.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