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 소개

타박네

오픈사전

타박네 : 남으로부터 핀잔을 받고 따돌림을 받는 사람을 일컫는 옛 우리말.

타박네- 전국적으로 불려지는 전래동요

사친요() 또는 추모요()로 분류되기도 한다. ‘다북(복)녀·따복녀·타박녀·다(따)북네·타복네’ 등 다양하게 불리며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1924년 엄필진()이 지은 『조선동요집()』에는 ‘다북네·따북네’라는 이름이 나오며, 1939년 임화()가 지은 『조선민요집()』에는 ‘타복네’, 1940년 김소운()이 지은 『구전동요집()』에는 ‘다북네·타복네·따복녀’가 등장한다.

이 밖에 지방에 따라 ‘따분새’()·‘따분자’()·‘따분다’()·‘터분자’()·‘따옹녀’()·‘다박머리’() 등으로 음전()되어 불리기도 한다. 명칭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엄필진은 「내 어머니 젓맛」(조선동요집)이라는 성천() 지방 동요를 소개하고 나서, 뒤에 “따북네라 함은 평안북도 지방의 방언으로 머리 다부룩한 소녀를 일으는 말이요.”라고 주()를 달아 놓았다. 일본인 다카하시[]는 「북선()의 민요()」에서 ‘옥()과 같이 맑은 얼굴의 소녀’라고 해석하였다.

이 밖에 타박녀는 홍경래의 난이 일어났던 1811년(순조 11) 평안도 가산()다복동()에서 발생하였다는 설도 있고, 심청이 죽은 어머니를 찾는 노래(전주)에서 시작되었다는 설도 있다.

형식은 4·4조를 기조로 하고 있으며 수사()는 다음과 같이 문답법()·과장법·반어법을 통하여 금기()와 불가능의 세계를 가능의 세계로 승화, 성취시키고 있다. 노래 가사는 다음과 같다.

(문) 따북 따북네야

너울면서 어데가늬

(답) 내어머니 무든곳에

젓먹으로 나는가네

(문) 물깁허셔 못간단다

놉하셔 못간단다

(답) 물깁흐면 헴처가고

놉흐면 기어가지

(문) 가지[]줄게 가지마라

문배줄게 가지마라

(답) 가지실타 문배실타

내어머니 젓을내라

(결사) 내어머니 무덤압헤

달낭참외 열넛기로

한개 따서

맛을보니

내어머니 젓맛일세 (성천 지방)

이 노래는 4·4조로 이어지는 문답체 동요로, 명령과 부정의 문답식 대화가 계속되다가 결사()에 가서는 어머니의 무덤을 찾게 된다. 이 작품의 고난과 시련, 성취의 구조는 마치 설화 구조를 닮고 있다 하겠다.

[네이버 지식백과] 타박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향토대백과 인문지리정보관 : 문화 · 예술>

황해도 민요 [타박네]

타박타박 타박네야 너 어디로 울고가니
우리엄마 몸둔곳에 젖먹으러 울고가요
아가아가 못간단다 산이높아 못간단다
귀신있어 못간단다 범이있어 못간단다
물깊어서 못간단다 산높으면 기어가고
물깊으면 헤여가고 귀신앞엔 빌고가고
범있으면 숨어가구 우리엄마 몸둔곳은
저산넘어 북망이라 우리엄마 무덤앞에
허겁지겁 다달아서 잔디뜯어 분장하고
목을놓아 울어봐도 우리엄마 말이 없네
우리엄마 무덤앞에 데령참외 열렸길래
한 개 따서 맛을보니 우리엄마 젖맛일세

[네이버 지식백과] 타박네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

 

<타박네>

노래강촌사람들2011.10.01

타박 타박 타박네야 너 어드메 울고 가니 우리 엄마 무덤가에 젖먹으로 찾아 간다 산이 높아서 못간단다 산이 높으면 기어 가지 물이 깊어서 못간단다 물 깊으면 헤엄치지 명태줄라 명태 싫다 가지줄라 가지 싫다 우리 엄마 젖을 다오 우리 엄마 젖을 다오 우리 엄마 무덤가에 기어기어 와서 보니 빛깔 곱고 탐스러운 개똥참외 열렸길래 두손으로 따서들고 정신없이 먹어 보니 우리 엄마 살어 생전 내게 주던 젖맛일세 명태줄라 명태 싫다 가지줄라 가지 싫다 우리 엄마 젖을 다오 우리 엄마 젖을 다오 우리 엄마 무덤가에 울다울다 잠이드니 그리웁던 우리 엄마 꿈속으로 찾아 오네 반가웁고 놀라운 마음 엄마 치마 끌어잡고 엄마엄마 같이 갑시다 타박네야 못간단다 산이 높아서 못간단다 산이 높으면 기어 가지 물이 깊어서 못간단다 물 깊으면 헤엄치지 타박 타박 타박네야 너 어드메 울고 가니 우리 엄마 무덤가에 젖먹으로 찾아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