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 소개

[학습] 성경 66권의 저자와 그 배경

                 ※ 성경 66권의 저자와 그 배경

 

구약전서

 

창세기(50장)

1) 저자 : 모세 오경―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은 모세가 기록하였다. 애굽 궁중에서 양육을 받은 그는 학자요,               정치가요, 장군이었다. 세상의 관념에 따르면 그는 종교 지도자였다.
2) 장소 : 그는 이 오경을 시내 산과 광야에서 기록하였다.
3) 시기 : 이 책에서 기록한 사건들은 주전 4004년과 주전 1689년 사이에 발생한 것이며, 그 기록은 주전 1500년경에 했다.
 

4) 기록목적: 하나님의 창조사역과 하나님께서 당신의 백성들을 일반 백성들로부터 분리하자는 점진적인 구원역사기록.

5) 핵심인물:아담,하와,노아,아브라함,사라,이삭,리브가,야곱,요셉 등

 

출애굽기(40장)

1) 저자 : 성경의 처음 5권은 모두 모세가 쓴 것으로 `모세 오경`이라 불린다. 출애굽기 17장 14절과 34장 27절은               이 책을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쓰도록 명하신 것임을 증명한다.
2) 시기 : 이 책에서 기록한 사건들은 주전 1706년과 1490년 사이에 일어난 것이다.
 

3) 기록목적: 이스라엘 백성의 출애굽 및 선민으로서의 성장과정

4) 핵심인물: 모세,바로, 이드로,아론,여호수아

 

레위기(27장)

1) 저자 : 이 책의 저자는 모세이다. 전체의 내용이 모두 모세에 대한 여호와의 `고하여 이름`, `분부`이다.
2) 장소 : 장소는 시내 광야인데 이스라엘 백성이 그곳에서 머물렀고 조금도 이동하지 않았다.
3) 시기 : 이 책에 기재된 법도와 명령은 하나님께서 일 개월 반에 걸쳐 모세에게 분부하신 것으로 그 기간은
               대략 이스라엘의 정월 일 일, 곧 회막이 건축될 때(출 40:2, 17, 레 1:1)부터 2월 20일, 즉 그들이 시내 광야를 떠날 때까지이다(민 10:11-12).  

4) 기록목적:성막을 통해 하나님께 나아가기 위한 레위인의 제사장적 임무를 규정하고 이스라엘 백성들을 거룩한 생활로 안내

5) 핵심인물:모세,아론,나답,아비후,엘리에셑,이다말

 

민수기(36장)

1) 저자 : 모세가 기록하였다.
2) 장소 : 시내 산과 광야이다.
3) 시기 : 이 책에서 기록한 사건들은 주전 1490년부터 1451년 사이에 발생하였다.

4) 기록목적: 약속의 땅으로의 진입을 위한 이스라엘백성들의 준비과정, 그들의 죄상과 그에 따른 처벌 및 회보고가정 등을 기록

5) 핵심인물: 모세, 여호수아


신명기(34장)

1) 저자 : '신명기(Deuteronomy)`라는 단어는 `제 2의 율법`을 의미한다. 즉, `다시 말해 주는 것`, `                되풀이해 말하는 것`, `다시 들려 주는 것`이란 뜻이다.                 이 책의 저자는 하나님의 종인 모세가 분명하다. 처음에는 입으로 전하다가 이후에 책으로 쓴 것이다                (1:3, 31:24-26 참조).
2) 장소 : 이 책은 앞의 민수기의 마지막에 이어지는 내용으로 이 두 권의 책의 기록 시기와 장소는 같다.
               모두 출애굽 이후 제 40년이고 장소는 모압 평원이다.
3) 시기 : 이 책의 내용을 다루고 있는 시간은 약 사십 년으로 주전 1491년부터 주전 1451년까지이다.

4) 기록목적: 율법에 익숙치 않은 신세데에게 율법을 가르쳐 성숙한 백성으로 만들고 선조의 경험과 하나님의 징계를 상기시켜 순종의 중요성을 강조

 5) 핵심인물: 모세, 아론,미리암,여호수아,갈렙,엘리에셑,고라,발람

 

여호수아(24장)

1) 저자 : 여호수아서의 저자는 여호수아이며(1:1), 그의 이름은 `여호와 구원자`, `여호와의 구원`을 뜻한다(민 13:16).
2) 장소 : 여호수아서를 쓴 장소는 모압 평지이다(신 34:8-9).
3) 시기 : 이 책을 쓴 시기는 주전 1451년에서 1426년까지이다.

4) 기록목적: 이스라엘 백성의 '약속의 땅' 정복과 정착, 그 과정에 나타난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공의로움 기록

5) 핵심인물: 여호수아, 라합, 아간,비느하즈,엘리에셑

 

사사기(21장)

1) 저자 : 사사기의 저자에 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으나 그것을 입증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많은 권위자들은 사무엘이 기록한 것으로 추정한다.
2) 시기 : 사사기에서 다루고 있는 시기는 주전 1425년경에서(여호수아의 죽음 후) 주전 1120년경까지
               (삼손이 죽었을 때―16:30-31)로 약 305년간이다.                다음 목록은 역사에 따른 연대순이다. ① 2:6-9(주전 1426년경) ② 1:1-36(주전 1425년경)                ③ 2:1-5(주전 1425년경) ④ 2:10-13(주전 `) ⑤ 17:1-21:25(주전 1406년경) ⑥ 2:14-16:31(주전 `-1120년경) 

3) 기록목적: 죄와 불의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과 진실한 회개에 대한 용서의 기록으로 하나님의 공의와 사랑을 보여줌

4) 핵심인물: 웃니엘, 에훗, 드보라,기드온,아비멜렉, 입다,삼손,들릴라, 미기

 

룻기(4장)

1) 저자 : 룻기는 역사와 시기에 있어서 앞의 책 사사기와 다음의 책 사무엘서와 연관이 있다.                그러므로 그것은 사무엘이 기록했을 가능성이 높다.
2) 시기 : `이새는 다윗을 낳았더라`는 말씀에 따라(4:22) 저작 시기는 사사들의 통치 이후 열왕의 때다.
                이 책에서 다루는 역사의 기간은                 주전 1322년경부터 1312년경까지 약 11년 간이다. 기록한 역사는 모압과 유다에서 발생했다(1:1, 22).  

3) 기록목적: 사사통치기의 혼란속에서도 하나님의 진리를 굳게 지키는 이방 여인 룻의 신앙과 하나니므이 돌보심을 기록

4) 핵심인물: 룻,나오미,모아스

 

사무엘상(31장)

1) 저자 : 사무엘이라는 이름은 `하나님께서 들으심` 또는 `하나님께 구함`을 의미한다.                사무엘상 1장부터 24장까지는 사무엘이 쓴 것이다.                사무엘상의 나머지 부분과 사무엘하 전부는 선지자 나단과 선견자 갓이 썼다(대상 29:29).
2) 장소 : 저술 장소는 에브라임과 유다였다.
3) 시기 : 사무엘상`하의 저술 시기는 주전 1171년에서 1017년경이다.
 

4) 기록목적: 사울의 등장 및 쇠퇴, 위대한 왕 다윗의 선택 등을 기록함으로써 메시야왕국의 특성을 예시

5) 핵심인물: 엘리, 한나, 사무엘, 사울, 요나단, 다윗

 

사무엘하(24장)

1) 저자 : 기록자들은 나단과 갓이었다.
2) 시기 : 가나안 땅에서 주전 1056년부터 1017년 사이에 일어났던 일들을 기록하였다.
 

3) 기록목적: 하나님의 주권하에 있는 다윗의 효과적 지도력, 인간의 한계성,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인격적요소 등을 보여주는 동시에 불완전한 왕국의 한 이상적인 지도자이니 다윗을 통해 새롭고 완전한 왕국의 이상적 지도자로 오실 그리스도를 예포함

4) 핵심인물: 다윗, 요압,이스보셋,므비보셋,밧세바, 바단, 압살룸,아히도벡

 

열왕기상(22장)

1) 저자 : 열왕기의 저자가 누구인지 확인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나 어떤 이들은 예레미야가 그 저자라고 생각한다.
2) 장소 : 이 책은 아마 가나안 땅에서 기록되었을 것이다.
3) 시기 : 열왕기상에서 기록된 것은 주전 1015년부터 897년 사이에 일어난 일들이다.
 

4) 기록목적: 이스라엘과 유다의 역사를 통해 하나님을 위해 사는 자와 그렇지 않은 자의 삶을 대조

5) 핵심인물: 다윗,솔로몬,르호보암,여로보암,엘리야,아합,이세벨

 

열왕기하(25장)

1) 저자 : 예레미야가 이 책을 썼을 것이다.
2) 장소 : 아마도 가나안 땅에서 기록했을 것이다.
3) 시기 : 이 책에 기록된 일들은 주전 896년부터 588년 사이에 일어났다.
 

4) 기록목적: 하나님을 진정한 통치자로서 섬기지 않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당할 운명을 예시

5) 핵심인물: 엘리야, 히스기야,산혜립, 나아만, 이세벨, 예후,요아스,이사랴,므낫세,요시야,여호와김,시드기야,느부갓네살,여호야긴

 

역대상(29장), 역대하(36장)

1) 저자 : 역대상`하의 저자는 아마도 에스라였을 것이다. 이 문제에 관해서는 역대하 36장 22절과 23절을                에스라 1장 1절에서 3절 상반절까지와                비교해서 보아야 한다. 이 두 부분이 반복된 것은 역대상`하를 에스라서의 저자인 에스라가 썼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
2) 시기 : 상권은 주전 1056년에서 1015년까지 약 사십일 년이라는 기간을 포함하고 있는데,
               열조의 계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하권은 주전 1015년에서                536년까지 약 사백칠십구 년이라는 기간을 포함하고 있다. 이 두 권의 책은 아마도 에스라가 포로됨에서                귀환한 후에 예루살렘에서 썼을 것이다 

3) 기록목적: <상>이스라엘 국가 체제 확립, 다윗의 경건성 부각, 개인적 민족적 삶의 중심으로서의 진정한 예배정신을 제시

<하>유다 역대왕들에 대한 심판을 통해 하나님의 심판기준을 제시하며 진정한 예배를 통한 민족통합을 기원, 또한 신령한 왕들 치하의 신앙회복과 약한왕들 치하의 영적타락을 대조 예시

4) 핵심인물: <상>다윗, 솔로몬,<하>솔로몬,스바여왕,르호보암,아사,여호사밧,여호람,요아스,웃시야,아하스,히스기야,므낫세,요시야

 

에스라(10장)

1) 저자 : 에스라서의 저자는 `도움` 또는 `돕는 자`를 의미하는 이름을 가진 에스라였다. 그는 아론의 자손으로서(7:1-5)                모세의 율법에 능한 제사장이요, 서기관이었다(7:6, 11-12).
2) 장소 : 그의 책들은 예루살렘에서 기록되었다.
3) 시기 : 이 책의 내용은 주전 536년부터 457년까지 약 팔십 년의 기간을 다루고 있다.
 

4) 기록목적: 본향 복귀의 약속을 성취하시는 하나님의 방법과 그분의 미쁘심 증거

5) 핵심인물: 고레스,스룹바벨, 아닥사스라세, 에스라

 

느헤미야(13장)

1) 저자 : 이 책의 저자는 느헤미야로 그의 이름은 `여호와의 위로`를 뜻한다. 그는 왕의 술 관원이었다(1:11하).
2) 장소 : 이 책 전체는 느헤미야가 그의 대적들의 시험과 공격을 받는 가운데서 위로이신 하나님을
               신뢰한 내용으로 예루살렘에서 기록되었다.
3) 시기 : 이 책의 내용은 주전 446년부터 434년까지 약 십이 년의 기간을 다루고 있다.
 

4) 기록목적: 시온으로의 제3차 귀국, 성벽재건, 백성의 부흥운동 등을 통해 나타난 선민을 향한 하나님의 끊임없는 사랑을 드러냄

 

에스더(유대인 처녀, 10장)

1) 저자 : 에스더의 저자는 아마 모르드개였을 것이다(에 9:20, 23). 에스더의 삼촌인 그는 그녀를 양육한 사람이었다.                그는 하나님을 사랑하고, 유대인들을 사랑한 자였다.
2) 장소 : 아마도 수산 성에서 기록됐을 것이다.
3) 시기 : 이 책의 내용은 아하수에로가 통치하던 기간(주전 486-465년) 중 적어도 10년의 기간을 다룬다.
 

4) 기록목적: 선민을 보호하시는 하나님의 주권과 섭리를 제시하는 동시에 부림절의 기원을 소개

5) 핵심인물: 에스더, 모르드개,아하수에로왕(크세루크세스1세), 하만

 

욥기(지혜문학서, 42장)

1) 저자 : 이 책의 제목은 저자인 욥의 이름을 따라 붙여졌다. 욥은 `미움을 받다`또는`핍박을 받다`를 의미하는데,                이는 욥이 하나님의 원수인                사탄에게서 어떠한 고통을 겪었는지를 나타내 준다. 에스겔 14장 12, 14, 20절과 야고보서 5장 11절은                이 책을 욥이 썼다는 것을 확증해 준다.
2) 장소 : 이 책이 쓰인 장소는 에돔에 속하는 우스 땅으로서(애 4:21) 아라비아 광야 서쪽이다.
3) 시기 : 이 책이 쓰인 시기는 욥의 유목 생활(욥 1:3)과 그가 자녀들을 위해 번제를 드린 방식(욥 1:5, 창 22:13, 31:54)에 따르면,
               주전 약 2000년경인 아브라함, 이삭, 야곱의 시대이다. 

4) 기록목적; 하나니므이 주권과 참된 믿음의 의미가 무엇이며 왜 의인이 고통받는가란 의문에 해답을 제시

5) 핵심인물: 욥, 엘리바스, 빌닷, 소발, 엘리후

 

시편(150편)

1) 저자 : 시편의 대부분을 다윗이 기록하였기 때문에 시편을 다윗의 시라고 부르기도 한다.                시편의 머리말에 따르면 다윗이 73편(일흔 세 편)을 기록하였고,                아삽이 12편(열두 편)을, 그리고 헤만과 에단이 각각 1편(한 편)씩을 썼다. 또 고라의 자손이 10편(열 편),                솔로몬이 2편(두 편), 모세가 1편(한 편)을 기록하였으며, 머리말이 없는 것도 50편(오십 편)이 된다.                머리말이 없는 것 중에서 몇 편 예를 들면 시편 2편(행 4:25), 95편(히 4:7), 96편(대상 16:23-33),                105편(대상 16:8-22)은 다윗이 기록한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시편을 썼지만, 그것은 모두 한 성령의 감동으로 된 것이다.
2) 장소 : 시편은 모세가 광야에서 기록한 90편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이스라엘에서 기록되었을 것이다.
3) 시기 : 가장 초기의 시편은 주전 1500년에 모세가 쓴 것(시편 90편)이며, 마지막 시편은 137편일 것이다.
                이것은 이스라엘 자손이 포로로 잡혀간 뒤 기록한 것이다. 

4) 기록목적: 하나님에 대한 찬양,경배,고배그이 시로 표현

5) 핵심인물: 다윗

 

잠언(31장)

1) 저자 : 잠언은 현자들의 말을 모은 것이다. 주된 기자와 수집자는 솔로몬으로서 그는 삼천 개의 잠언을 지었다               (왕상 4:32, 전 12:9 참조).                또한 히스기야는 25장에서 29장까지에 있는 열조들의 몇몇 잠언들을 추가하였다.
2) 장소 : 잠언은 아마도 예루살렘에서 쓰였을 것이다.
3) 시기 : 솔로몬의 잠언들은 주전 1000년경에 쓰였고, 히스기야의 잠언들은 그로부터 약 삼백 년 후에 쓰인 것이다.
 

4) 기록목적: 모든 인간사에 지혜로운 대처방안을 제시, 우매자에게 슬기를, 젊은이에게 지식과 근신함을 ,명철한자에게 모략을 줌, 즉, 일상생활에 영적 지혜와 도덕적 교훈을 적용하게 함

 

전도서(12장)

1) 저자 : 전도서의 저자는 지혜로운 왕 솔로몬이다(1:1, 12, 12:9, 왕상 4:32).
2) 장소 : 그는 이 책을 예루살렘에서 썼다(1:1, 12).
3) 시기 : 저작 시기는 주전 977년경으로 솔로몬이 타락한 후이다.
 

4) 기록목적: 하나님을 떠난 인생의 무상을 개인적 체험을 통해 후대에게 전하는 교훈

 

아가(8장)

1) 저자 : 아가서는 솔로몬이 말년에 이스라엘에서 기록한 것으로 잠언이나 전도서보다 이해하기가 어렵다.
2) 시기 : 솔로몬의 통치 시기는 주전 970-931년이었다
 

3) 기록목적: 신랑 솔로몬과 신부 슬람미 여인과의 사랑을 통해 결혼의 거룩성을 명시, 이는 하나님과 그의 백성간의 지고한 사랑을 상징함.

 

이사야(66장)

1) 저자 : 이사야서는 저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것이다. 일반적인 성경 해석가들은 흔히 이사야를 선지자 중에서                가장 큰 선지자라고 칭한다.               그가 메시아에 관한 예언을 가장 상세하고 광범위하게 썼기 때문이다.               아모스의 아들 이사야는 이스라엘 왕국의 선지자 아모스와 호세아,               그리고 유다 왕국의 선지자 미가와 동시대 사람이었다. 역사가였던 그는 웃시야, 요담, 아하스, 히스기야에               이르는 네 왕조에 걸쳐 가장 긴 기간 동안 선지자로서 사역했다(1:1).               유대인들 사이에서 믿을 만한 유전(tradition)과 2세기의 몇몇 랍비들의 저서에 따르면 그는               므낫세의 재위 기간에 톱으로 켜서 죽임을 당했다(왕하 21:16, 24:4, 마 5:12, 행 7:52).
2) 장소 : 예루살렘에서 기록되었다.
3) 시기 : 이사야서는 주전 760년경부터 698년 사이이다.
 

4) 기록목적: 유다의 타락과 회보그이 과정을 통해 메시아를 중재로한 하나님의 구원 사역을 예표.

5) 핵심인물:이사야, 스알야숩,마헬살랄하스바스

 

예레미야(52장)

1) 저자 : 제사장 힐기야의 아들 예레미야는 아나돗 사람이었다(1:1). 그는 제사장으로 태어났으며                요시야 왕 십삼 년에 선지자로 부르심받았다.                그는 이스라엘이 포로로 잡힐 때까지 주님을 위해서 예언했다(1:2-3, 5-7).                그는 구약의 모든 선지자들 중에서 가장 핍박을 많이 받은 선지자로                왕과 지도자들과 제사장과 백성들 중 소수를 제외하고 모두가 그를 반대하고 증오했다.                하나님의 이름으로 말하는 체하는 거짓 선지자들이 특히 그의 예언에 관하여 그릇되게 말하고                반박했으며 아사랴와 요하난과 같은 친 애굽파들이 그를 억지로 애굽으로 가게 했다(43:2-7).
2) 장소 : 이 책의 대부분은 유다에서 기록하였고, 마지막 장들은 애굽에서 썼다.
3) 시기 : 그 기간은 주전 629년부터 588년까지이다
 

4) 기록목적: 죄약의 회개와 하나님께로의 복귀를 선포

5) 핵심인물: 유다의 왕들, 바룩, 에벳멜렉, 느부갓네살왕,레갑족속

 

예레미야 애가(서론, 5장)

1) 저자 : 예레미야 애가의 저자는 울며 애통해 하는 선지자 예레미야이다(대하 35:25 참조).                이 책은 한 때 예레미야서의 일부였으나,               어느 때부터인가 `예레미야 제 2권`으로 불렸다. 유대의 전통과 70인 역의 번역가들에 따르면               이 책은 느부갓네살이 예루살렘을 마지막으로 함락시킨 후에 예레미야가 기록하였다.
2) 장소 : 이 책은 대부분이 예루살렘에서 기록되었을 것이다. 예루살렘 성 밖 골고다
               (갈보리로 불리기도 함) 맞은편에 예레미야의 동굴로 불리는 감춰진 동굴이 있다.                전하는 말에 따르면 예레미야가 거기 앉아서 황무한 성을 바라보고 애통해 하면서 애가를 기록하였다고 한다.
3) 시기 : 이것으로 볼 때 그 책은 주전 588년에 쓰였을 것이다.
 

4) 기록목적: 하나님에 대한 불목은 재앙을 초래하며 백성의 고통은 곧 하나님의 고통임을 교훈

5) 핵심인물: 예래미야, 예루살렘 백성들

 

에스겔(48장)

1) 저자 : 에스겔은 부시의 아들로 제사장이었다(1:3). 에스겔이란 이름은 `하나님께서 강화하실 것이다`                혹은 `전능자가 너의 힘이다`를 의미하며, 부시는 `경멸받은`이라는 뜻이다.                에스겔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경멸받은 선지자 였지만 전능하신 하나님께서는 그를 강화시키셨다.
2) 시기 : 그는 사역을 주전 595년부터 574년까지 바벨론에서 수행하였다.
 

3) 기록목적: 이스라엘과 열방들에 대한 하나니므이 심판 선포, 장차 메시야 왕국에서의 이스라엘 회복 예언

4) 핵심인물: 에스겔, 이스라엘방백들, 에스겔의 아내, 느부갓네살

 

다니엘(12장)

1) 저자 : 이 책의 저자는 유다 지파의 후손인 다니엘이다(1:6). 그의 이름은 `하나님은 심판자`라는 의미이다.
2) 장소 : 이 일이 발생한 장소는 바벨론 성과 엘람 성 등이다.
3) 시기 : 이 책의 내용이 포함하고 있는 시간은 약 73년간으로 주전 607년부터 주전 534년까지이다.

4) 기록목적: 바렐론 포로중에 있는 경건한 유대인들의 신앙 간증과 아울러 자연현상, 열국의 운명, 선민 보호 등을 통해 나타나는 하나니므이 우주적 섭리를 예시

5) 핵심인물: 다니엘, 느부갓네살, 사드락, 메삭, 아벳느고, 벨시잘, 다리오

 

호세아(14장)

1) 저자 : 저자인 호세아는 브에리의 아들이었다(1:1). 그의 이름은 `구원` 혹은 `여호와는 구원`을 의미한다.
2) 장소 : 그의 사역의 장소는 북이스라엘이었다.
3) 시기 : 호세아의 사역 시기는 주전 785년부터 725년까지 육십 년 동안이며, 그가 사역하던 때에는
               이스라엘이 북이스라엘과 남 유다 두 왕국으로 분열되어 있었다. 호세아의 사역의 대상은 음란하고                변절한 이스라엘 왕국이었다. 음란은 이스라엘의 상태를 말하며, 변절은 이스라엘의                위치를 가리킨다. 상태로 말하자면 그들은 간음했으며, 위치로 말하자면 그들은 변절했다.               그것이 하나님의 아내인 이스라엘의 상황이었다. 

4) 기록목적: 방탕한 이스라엘인들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을 예시

5) 핵심인물: 호세아, 고멜, 자녀들

 

요엘(3장)

1) 저자 : 요엘은 브두엘의 아들이었다(욜 1:1). 그의 이름은 `여호와는 하나님`을 의미한다.
2) 장소 : 요엘은 이 책을 유다에서 기록하였다.
3) 시기 : 그 기간은 대략 주전 870년부터 865년 사이일 것이다.

4) 기록목적: 유다의 죄악으로 인해 임박한 심판을 경고, 하나님께로의 회개를 촉구함

5) 핵심인물: 요엘, 유다백성

 

아모스(9장)

1) 저자 : 히브리어에서 `아모스`는 `짐을 진 자`를 의미한다.
2) 장소 : 아모스는 북이스라엘의 벧엘에서 사역했다.
3) 시기 : 아모스의 사역 시기는 주전 787년경이었고(1:1상), 그의 사역의 대상은 북이스라엘이었다(1:1하).

4) 기록목적: 북왕국 이스라엘인들의 자만, 우상숭배, 빈곤층 억압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을 선포

5) 핵심인물: 아모스, 아마샤, 여로보망2세.

 

오바댜(1장)

1) 저자 : 오바댜는`여호와의 종`을 의미한다.
2) 시기 : 오바댜는 이 책을 아마도 주전 880년에 유다에서 기록했을 것이다.

3) 기록목적; 선민을 상해하는 자들에게 임할 하나님의 심판 예시, 택한 백성의 경우도 범죄시에는 징계하지만 완전히 버리지는 않으심을 분명히 함.

4) 핵심인물: 에돔족속들

 

요나(4장)

1) 저자 : 히브리어로 요나는 `비둘기`를 의미한다. 이것은 하나님께서 요나가 평강의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                 비둘기처럼 나아가기 원하셨음을 상징한다.
2) 장소 : 요나의 사역의 대상은 앗수르의 수도인 큰 성 니느웨 사람들이었으며, 사역의 장소 또한 니느웨였다.
3) 시기 : 요나의 사역 시기는 선지자 엘리사 시대인 주전 862년경이었다.
 

4) 기록목적; 구원의 메시지가 '모든'사람을 위해 제시되었다는 사실을 통해 하나니므이 무한하신 자비를 보여줌

5) 핵심인물: 요나, 선장과 선원들

 

미가(7장)

1) 저자 : 모레셋 사람 미가는 유다 열왕 요담과 아하스와 히스기야 시대에 예언하였다(1:1).                그는 이사야와 호세아와 동시대 사람이었으며(사 1:1, 호 1:1),  아마도 아모스와도 동시대                사람이었을 것이다. 그의 이름은 `주와 같은 신이 어디 있으리이까``라는 뜻이다(7:18).
2) 장소 : 유다에서 기록되었다.
3) 시기 : 이 책은 주전 약 750년에서 710년 사이이다.
 

4) 기록목적: 임박한 심판을 경고하여 죄악의 회개를 촉구하고 장차 도래할 메시야왕국에 대해 알려주어 백성들에게 소망을 줌

5) 핵심인물: 사마리아인, 예루살렘인

 

나훔(3장)

1) 저자 : 히브리어에서 나훔이라는 말은`위로`와`보복`을 의미한다. 이는 여호와 하나님께서 그분의 선민 이스라엘을 위로하시고,                이스라엘의 원수 니느웨에게 보복하신다는 것을 뜻한다.
2) 장소 : 나훔의 사역 장소는 유다였다. 그는 큰 성 니느웨를 대상으로 사역했다. 바벨 성과 니느웨 성은
               니므롯이 건축한 것으로(창 10:8-11) 바벨론과 앗수르의 수도가 되었다. 적그리스도의 첫 번째 예표인                니므롯은 하나님을 반대한 첫 번째 사람이었으며, 이 나라들 둘은 하나님을 반대하는 인류의 강한 예표들이었다.
3) 시기 : 나훔의 사역 시기는 주전 713년경이었다. 그것은 앗수르 왕 산헤립이 이스라엘을 침략한 해였다.

4) 기록목적: 앗시리아에게 임할 하나님의 심판을 선포하고 이로써 유다를 위로함

5) 핵심인물: 니느웨사람들(앗시리아인)

 

하박국(3장)

1) 저자 : 하박국이라는 이름은 `품에 안다`혹은`달라붙다`라는 뜻이다. 하나님의 영원한 구원을 얻기 위해                우리는 하나님의 품에 안기고 그분께 달라붙을 필요가 있다.
2) 장소 : 그가 사역한 장소는 유다였다.
3) 시기 : 하박국의 사역 시기는 주전 626년경이었다. 이것은 바벨론이 침입하여 이스라엘 백성을
                바벨론으로 사로잡아 간 시기와 매우 가깝다.  

4) 기록목적: 외관상 악이 승리하여도 세상을 여전히 하나니므이 주권하에 있다는 사실을 통해 영적 통찰을 지니게 함

5) 핵심인물: 하박국, 갈대아인(바렐론 사람들)

 

스바냐(3장)

1) 저자 : 스바냐라는 이름은 `여호와께서 숨겨 주신 자`혹은 `여호와께서 보배로 여기신 자`라는 의미이다.
2) 장소 : 그는 유다와 수도 예루살렘을 대상으로 사역했다.
3) 시기 : 스바냐의 사역 시기는 하박국과 예레미야의 시대인 주전 630년경으로 사역 장소는 유다였다.
 

4) 기록목적: 자만한 유다인에게 임박한 심판을 경고함으로써 하나님께로의 회개를 촉구함과 동시에 하나니므이 구원을 예시

5) 핵심인물: 요시야, 유대백성들, 블레셋인, 모압인, 암몬인, 구스인,앗수르인

 

학개(2장)

1) 저자 : 학개는 스가랴와 동시대에 살았으며(스 5:1), 다리오 왕 이 년에 하나님을 위해 예언하였다.                그의 이름은 `나의 절기` 혹은 `여호와의 절기`라는 뜻이다. 이것은 그가 일찍 고국으로 돌아가                하나님의 절기를 회복하기를 얼마나 사모했는가를 보여 준다.
2) 시기 : 이 책에서 기록한 일들은 주전 약 520년에 예루살렘에서 석 달 스무나흘 동안에 발생한 것이다.
 

3) 기록목적: 백성을 향해 성전 재건을 독려

4) 핵심인물: 학개, 스룹바벨, 여호수아

 

스가랴(14장)

1) 저자 : 스가랴는 잇도의 손자 베레갸의 아들(슥 1:1)로서 포로된 땅에서 태어났다가 스룹바벨과 함께 고국으로 돌아왔다.                잇도는 돌아온 최초의                제사장 무리에 속해 있었다(느 12:4, 16). 그러므로 스가랴는 예레미야와 에스겔처럼 제사장 겸 선지자였다.
               잇 도는 `정한 때`를 베레갸는 `여호와께 복을 받음`을, 스가랴는 `여호와의 기억하심을 입음`을 의미한다.
               이 세 이름을 함께 모아 볼 때 `정한 때 여호와께서 복을 주시고 기억하심`이란 뜻이 나타난다.                분명히 하나님은 정하신 날에 백성에게 복 주시고 기억하실 것이다.
2) 장소 : 유다에서 기록했다.
3) 시기 : 이 책은 주전 520년이다.
 

4) 기록목적: 메시아를 통한 하나님의 구원, 사역을 제시함으로써 선민들에게 소망 부여

5) 핵심인물: 여호수아, 스룹바벨

 

말라기(4장)

1) 저자 : 말라기라는 이름은 히브리어로 `나의 사자(使者)`를 의미한다. 이는 말라기가 여호와의 말씀을                그분의 백성인 이스라엘에게 사역하는 하나님의 사자였음을 나타낸다.
3) 시기 : 그의 사역 시기는 주전 400년경으로서 느헤미야 시대였다.
               그는 예루살렘에서 귀환한 이스라엘 백성들을 대상으로 사역했다. 

4) 기록목적: 이스라엘의 죄악을 책망하고 하나님과의 관계 개선을 촉구

5) 핵심인물: 말라기 제사장들

 

신약전서

 

마태복음(28장)

1) 저자 : 레위라고도 불리는 마태는 세리였는데 사도가 되었다(9:9, 눅 5:27). 이것은 9장 10절의 `그 주인`과                10장 3절의 `세리`라는 특별한 언급에 의해 증명된다.
2) 장소 : 유대 땅일 것이다.
3) 시기 : 이 책은 주님께서 부활하신 지 얼마 되지 않은(28:15) 주후 37년과 40년 사이,
               성전이 파괴되기(24:2) 전에 유대 땅에서 기록되었을 것이다. 이 책은 평범한 유대인들을 위해서 기록되었다.                왜냐하면 이 책에는 유대의 관습과 절기에 대한 설명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4) 기록목적: 예수가 구약에서 예언된 메시아이자 인류를 구원할 영원한 왕이심을 증거

5) 핵심인물: 예수, 마리아, 요셉, 세레요한, 사도들, 종교지도자들, 가야바, 빌라도, 막달라마리아

 

마가복음(16장)

1) 저자 : 이 복음서의 저자는 요한이라고도 불리는(행 12:25) 마가다. 그는 여러 마리아들 중 한 마리아의 아들이자,                바나바의 조카(골 4:10)였다. 그는 바나바와 사울의 사역에 동행했는데(행 12:25) 바울의 첫 번째 이방을 위한                사역 여행에 함께했다가 버가에서 그를 떠나 돌아왔다(행 13:13). 그 때문에 바울의 두 번째 여행에는 거절당했다.                그러자 마가는 바나바와 함께 일하러 갔다. 이 시점에서 바나바는 바울과 갈라섰다(행 15:36-40).                그러나 마가는 바울의 후반기에 이르러 그와 가까웠으며(골 4:10, 몬 24절), 바울이 순교할 때까지 그에게 유용했다               (딤후 4:11). 베드로가 그를 아들로 간주한 것으로 보아(벧전 5:13) 아마도 그는 베드로와도 줄곧 가까웠던 것 같다.
2) 장소 : 기록은 로마에서 이루어졌을 것이다(딤후 4:11).
3) 시기 : 이 책은 주후 67년에서 70년 사이에 쓰였다. 13장 2절의 내용은 이 책이 성전의 파괴전,
               아마도 사도 바울의 죽음 후에 기록되었음을 증명한다.                마가의 책은 유대의 이름과 관습과 절기들을 많이 설명한다(3:17, 5:41, 7:3, 11, 14:12, 15:42).                이것은 이 책이 이방인들, 특히 로마인들에게 쓰였다는 것을 증명한다. 

3) 기록목적: 예수의 인격, 능력, 가르침 등을 증거

4) 핵심인물: 예수, 12사도, 빌라도, 유대종교지도자들5)

5) 핵심장소: 가버나움, 나사렛, 가이사랴, 빌립보, 여리고, 배다니, 감람산, 예루살렘, 골고다

 

누가복음(24장)

1) 저자 : 초대 교회는 누가를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의 저자로 간주했다. 이 두 책의 문체와 작문을 볼 때 누가가 저자임이 분명하다.                누가는 의사였으며 아마도 아시아계 헬라인이었을 것이다(골 4:14). 그는 드로아에서부터 바울의 사역에 동참했으며,                바울의 세 차례 사역 여행에 동행했다(행 16:10-17, 20:5-21:18, 27:1-28:15). 그는 바울이 순교할 때까지                그의 신실한 동반자였다(몬 24, 딤후 4:11).                그러므로 그의 복음은 마가가 베드로의 관점을 대표한 것처럼, 바울의 관점을 나타냈을 것이다.
2) 시기 : 이 책은 사도행전이 쓰이기 전인, 주후 약 60년, 사도 바울이 가이사랴의 감옥에 있을 때 썼을 것이다.
               이 책은 데오빌로에게 보내졌다(1:3).

3) 기록목적: 예수의 생애에 대한 생생한 묘사를 통해 예수가 하나님인 동시에 완전한 인간임을 증거

4) 핵심인물과 장소: (인물)예수, 엘리사벳,사가랴, 세레요한, 마리아, 사도들, 헤롯, 빌라도, 막달라 마리아,(장소)베들레헴, 갈릴리, 유대,예루살렘

 

요한복음(21장)

1) 저자 : 이 책은 사도 요한이 기록했다(21:20, 24). 그는 세베대의 아들이었고(마 10:2), 그의 형은 야고보, 어머니는 살로메였다.                살로메는 주님을 따르고 섬기던 자매이다(마 27:55-56, 막 15:40).
2) 장소 : 에베소이다.
3) 시기 : 이 책은 아마 주후 약 90년경에 기록되었을 것이다. 이 책은 유대와 이방의 모든 믿는 이에게 쓴 것이다.
               1장 38절과 5장 2절, 그리고 19장 13절의 설명으로 보아 이것을 알 수 있다.  

4) 기록목적: 예수는 하나니므이 아들이시며 그를 믿는 모든 자는 영생을 얻을 수 있음을 증거(예수가 보여준 9건의 이적 중에 6건은 요한복음에만 기록됨)

5) 핵심인물: 예수, 세레요한, 사도들, 마르다의 동생 마리아, 마르다, 나사로, 예수의 모진, 빌라도, 막달라 마리아

 

사도행전(28장)

1) 저자 : 이 책은 바울의 동역자였던 누가가 자신의 여행 기록을 기초로 해서 기록한 것이다.
2) 장소 : 이 책은 아마도 로마에서 기록됐을 것이다(몬 24, 딤후 4:11).
3) 시기 : 완성 시기는 아마 이 책에 쓰인 사건들이 끝난 직후인 주후 67년과 68년 사이로 추정된다(1:1).
               수신자는 데오빌로였다(1:1, 눅 1:3). 

4) 기록목적: 하나님의 교리의 탄생과 성장에 관한 적확한 해설을 제시

5) 핵심인물:베드로, 요한, 야고보, 빌립, 바울, 바나바,스테반, 고낼료,예수의 형제 야고보,루디아, 실라, 아가보, 아나니아, 벨리스,베스로, 아그립바

 

로마서(16장)

1) 저자 : 사도 바울이다.
2) 장소 : 고린도이다.
3) 시기 : 이 책은 사도 바울이 주후 60년경 제3차 전도 여행이 끝날 무렵, 고린도에서(15:25-32, 행 19:21, 20:1-3)
               3개월간 머무는 동안에 로마에 있는 성도들에게(1:7) 쓴 것이다. 

4) 기록목적: 로마교회 방문의 길을 열기 위해 서신을 보냄으로서 바울과 그의 메시지 소개

5) 핵심인물: 바울,뵈뵈

 

고린도전서(16장)

1) 저자 : 이 책의 저자는 사도 바울(1:1, 9:1-2)이다.
2) 장소 : 기록장소는 에베소(행 19:21-22, 고전 16:3-8, 19)이다.
3) 시기 : 부르심받은 지 이십오 년 후(행 9:3-6, 15-16), 이방인들에게 보내심을 받은 지는 십사 년이 지났을 때
               (행 13:1-4, 9) 이 서신을 썼다. 대략 주후 59년경이라고 보는데 그 시기는 바울이 에베소에 머물렀던                삼 년간의 기간이 끝나갈 무렵이다(행 20:31, 고전 16:8) 

4) 기록목적: 고린도교회의 문제와 그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타락한 사회에 맞서는 그리스도인의 대처 방안을 제시

5) 핵심인물: 바울, 디모데, 글로에의 기족들

 

고린도후서(바울의 개인적 자서전적 서간, 13장)

1) 저자 : 이 책의 저자는 사도 바울이다(1:1).
2) 장소 : 기록 장소는 마게도니아이다(7:5-6, 8:1, 9:2, 4).
3) 시기 : 기록 시기는 대략 주후 60년경으로 로마서를 쓰기 이전이다. 고린도후서 2장 13절을 볼 때,
                이 서신은 바울의 제 3차 전도 여행 때 에베소에 체류한 후 마게도니아에서 쓴 것임을 알 수 있다. 

4) 기록목적: 유대주의의 모순점을 지적함으로써 복음 진리의 명확성을 증거, 도적 받는 자신의 사도직을 변호하고, 교회 내의 잘못된 가르침을 시정,

5) 핵심인물: 바울, 디모데,디도, 거짓교사들

 

갈라디아서(6장)

1) 저자 : 사도 바울이다.
2) 장소 : 기록 장소는 고린도이며, 바울이 일 년 반 동안 거기에서 머무는 중에 썼을 것이다(행 18:1-11).
3) 시기 : 이 책은 대략 주후 54년경 바울이 두 번째 전도 여행을 하는 동안, 곧 갈라디아를 통과하여 여행하고
               고린도에 도착한 후에 썼을 것이다 

4) 기록목적: 할례와 율법으로써 구원을 얻는다는 유대주의 주장의 모순을 지적하고 오직 믿음으로써 의와 자유를 얻는다는 그리스도의 진리를 증거.

5) 핵심인물: 바울, 베드로, 바나바, 디도, 거짓교사들

 

에베소서(회람 서신, 6장)

1) 저자 : 이 책의 저자는 사도 바울이다(1:1).
2) 장소 : 이 책을 쓴 장소는 로마로서, 그때 바울은 투옥되어 있었다(엡 3:1, 4:1, 6:20, 행 28:30).
3) 시기 : 이 책을 쓴 시기는 대략 주후 64년경이다
 

4) 기록목적: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를 설립한 하나님의 목적을 설명함으로써 예배소 교인의 믿음을 견고히 함. 이상적 교회의 모형 제시-몸, 성전, 새사람, 신랑, 군인, 성찬식 드으이 표현

5) 핵심인물: 바울, 두기고

 

빌립보서(4장)

1) 저자 : 이 책의 저자는 예수 그리스도의 종인 바울과 디모데이다(1:1).
2) 장소 : 기록 장소는 로마로, 바울은 그때 투옥 되어 있었다(빌 1:13, 행 28:30).
3) 시기 : 이 책을 쓴 시기는 대략 주후 64년경으로 아마도 에베소서를 쓴 다음에 이 서신을 썼을 것이다(1:25, 2:24 참조).

4) 기록목적: 빌립보 교회 신자들의 헌금에 대한 감사와 아울러 예수 그리스도께로 부터 말미암는 영적 기쁨을 제시함으로 신자들을 격려

5) 핵심인물: 바울, 디모데, 에바브로, 디도, 유오디아, 순두게

 

골로새서(4장)

1) 저자 : 이 책은 사도 바울과 형제 디모데가 썼다.
2) 장소 : 로마 감옥
3) 시기 : 골로새에 있는 성도들에게 주후 64년에 빌레몬서와 거의같은 시기에 썼다(4:9-10, 몬 10-12).

4) 기록목적: 창조의 주요, 교회의 머리되신 그리스도 안에 모든 해결점이 있음을 강조함으로써 골로새교회의 위기를 타개함

5) 핵심인물: 바울, 디모데, 두기고, 오네시모, 아리스다고, 다가, 에바브라

 

데살로니가전서(5장)

1) 저자 : 사도 바울이다.
2) 장소 : 바울이 2차 전도 여행 중에 동역자 실루아노와 디모데와 함께 고린도에 머무르면서(1:1, 3:6, 행 18:1, 5) 쓴 것이다.
3) 시기 : 이 책은 주후 54년경이다
 

4) 기록목적: 데살로니가 교인의 믿음을 견고히 하고 그리스도의 재림을 확증함

5) 핵심인물: 바울, 디모데, 실라

 

데살로니가후서(3장)

1) 저자 : 사도 바울이다.
2) 장소와 시기 : 시기 : 데살로니가후서는 전서와 같은 장소에서 거의 같은 시기에 연이어 기록되었다.
                           즉, 주후 54년경 바울이 2차 전도 여행 중에 동역자 실루아노와 디모데와 함께                            고린도에 머무르면서(1:1, 3:6, 행 18:1, 5) 쓴 것이다 

3) 기록목적: 데살로니가전서를 쓸 당시와 다름 없는 데살로니가교회의 상황을 본 바울이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한 데살로니가 교인들의 오해를 없애고, 건전한 재림신앙을 교훈함

4) 핵심인물: 바울,실라, 디모데

 

디모데전서(6장)

1) 저자 : 사도 바울이다.
2) 장소와 시기 : 이 책은 바울이 로마의 첫 번째 투옥에서 풀려난 뒤인 주후 65년경, 즉 바울이 처음 로마 감옥에
                           수감되었다가 풀려난 후에 마게도니아(1:3)에서 썼다. 

3) 기록목적: 젊은 목회자 디모데를 격려하고 훈계하는 동시에 영지주의 이단을 경계하도록 함

4) 핵심인물; 바울, 디모데

 

디모데후서(4장)

1) 저자 : 사도 바울이다.
2) 장소와 시기 : 바울이 순교 직전인 주후 67년경, 2차 투옥시 로마 감옥에서 썼을 것이다
 

3) 기록목적: 예배소교회의 장로인 디모데에게 용기를 주며 죽기전에 마지막으로 격려한 편지

4) 핵심인물: 바울, 디모데, 누가, 마가 등

 

디도서(3장)

1) 저자 : 사도 바울이다.
2) 장소 : 1장 5절과 3장 12절을 볼 때 기록 장소는 니고볼리이다.
3) 시기 : 대략 주후 65년경 바울이 첫 번째로 로마 감옥에 수감되었다가 풀려난 후 그레데를 거쳐
               니고볼리에 도착했을 때(1:5, 3:12) 썼을 것이다. 

4) 기록목적: 그레데섬의 교회들을 감독하는 디도의 직분과 그의 의무를 명시

5) 핵심인물: 바울, 디도

 

빌레몬서(1장)

1) 저자 : 이 책의 저자는 사도 바울과 및 형제 디모데이다(1절).
2) 장소 : 로마 감옥이다.
3) 시기 : 대략 주후 64년경, 바울이 처음 로마 감옥에 수감되었다가 풀려나기 바로 전에(9, 22절) 썼을 것이다
 

4) 기록목적: 빌레몬에게 달아난 노예 오네시모를 용서하고 믿음의 형제로서 맞을 것을 권고함으로써 그리스도인의 형제 관계 원리와 주인에 대한 의무를 예시

5) 핵심인물: 빌레몬, 오네시모

 

히브리서(서신, 설교문, 변증서, 13장)

1) 저자 : 이 책의 풍부하고도 깊은 내용을 볼 때 바울을 저자로 추정할 수 있다. 13장 23절에서                디모데를 언급한 것과 분위기로 보아 그가 저자임을 알 수 있다.
2) 장소와 시기 : 이 책은 사도 바울이 로마 투옥에서 풀려난 후인 주후 67년경 밀레도에 머물 때
                           (딤후 4:20 참조) 기록했을 것이다. `이달리야에서 온 자들`(13:24)이라는 언급에서                            이 책은 로마에서 쓰지 않았다는 것을 본다. 내용에 따르면 이것은 분명히 히브리 신자들에게 쓴 것이다. 

3) 기록목적: 그리스도의 완전성과 우월성을 증거함으로써 기독교를 변증하며 복음전파를 촉진시키게 함.

4) 핵심인물: 구약시대 믿음의 선진들

 

야고보서(5장)

1) 저자 : 이 책은 하나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의 종이자, 주 예수님의 육신의 형제(1:1, 마 13:55)인                야고보가 흩어져 있는 이스라엘 열두 지파에게 쓴 것이다(1:1).
2) 장소 : 야고보가 어느 때 예루살렘을 떠났다는 증거를 찾기가 쉽지 않은 것으로 미루어 이것은
               아마도 예루살렘에서 쓰였을 것이다.
3) 시기 : 그 내용에 교회의 하락에 대한 언급이 없기 때문에 이 책은 주후 50년경에 기록되었을 것이다.
 

4) 기록목적: 핍박 가운데서 참 사랑을 잃어버린 유대인 성도들의 부도덕한 실태를 지적하며 그리스도인의 올바른 실천윤리를 제시

5) 핵심인물: 아브라함, 라함, 엘리야

 

베드로전서(5장)

1) 저자 : 이 책은 예수 그리스도의 사도 베드로가 이방 나라들에 흩어져 있는 유대 믿는 이들에게 쓴 것이다(1:1).
2) 장소 : 기록은 유프라테스 강의 큰 도시인 바벨론에서 이루어졌다(5:13).
3) 시기 : 쓴 시기는 바울의 순교 이전임이 분명하다(5:13). 그러므로 이것은 주후 64년경에 기록되었을 것이다.
 

4) 기록목적: 하나니므이 참 은혜를 제시함으로써 박해 받는 그리스도인들이 소망을 지닐 것을 격려함(베드로=반석, 산돌과 목자와 양=교회)

5) 핵심인물: 배드로, 실루아노,마가

 

베드로후서(3장)

1) 저자 : 책은 예수 그리스도의 종과 사도인 베드로가 이방 세계에 흩어져 있는 유대의 믿는 이들에게 쓴 것이다(벧전 1:1).
3) 시기 : 2장의 교회의 타락한 상태와 3장 15절에서 16절의 사도 바울에 관한 천거의 말에 따르면,
               이 책은 바울의 순교 후인, 아마도 주후 70년의 예루살렘 함락 전인 주후 69년경에 기록되었을 것이다.                이것은 베드로의 순교 직전에 기록되었음이 틀림없다(1:14). 

4) 기록목적: 거짓교사들의 헛된 교리를 반박하고 그리스도를 아는 믿음에서의 복된 성장을 촉구.

5) 핵심인물: 베드로, 바울

 

요한일서(5장)

1) 저자 : 이 서신의 구성과 분위기와 어조에 따르면 요한복음을 쓴 그 요한이 이 책을 기록했다는 데에 대해 의심의 여지가 없다.                이 서신은 하나님의 아들을 믿음으로써 하나님의 영원한 생명을 받은 모든 믿는 이들에게 쓴 것이다(5:11-13).
2) 장소와 시기 : 교회 역사와 이 서신 전체의 내용에 따르면 요한이 밧모 섬의 유배에서 돌아온 이후인 아마도
                           주후 90년과 95년 사이에 그가 마지막으로 사역했던 에베소에서 기록했음에 틀림없다. 

3) 기록목적: 믿음안에 있는 그리스도인들의 영적 충만을 장려하고 거짓교훈을 대적함

4) 핵심인물: 요한, 예수

 

요한이서(1장)

1) 저자 : 이 책은 장로인 요한이 택하심을 입은 자매와 그녀의 자녀에게 쓴 것이다(1절).               

2) 장소와 시기 : 이것은 분명히 요한일서 이후에 쓰여졌을 것이다              (요한일서의 이 부분을 참고하라). 교회 역사는 이 책이 기록된 당시, 요한이 에베소의 장로였음을 명확하게 진술한다.               그러므로 이 책은 에베소에서 기록됐음이 틀림없다 

3) 기록목적: 그리스도 섬김의 근본 조건인 사랑과 믿음을 강조하고 거짓교사들을 대적함

4) 핵심인물: 요한 , 기리아와 그녀의 자녀

 

요한삼서(1장)

1) 저자 : 이 서신은 요한이 에베소의 장로였을 때, 그곳에서 가이오에게 쓴 것이다(1절)

2) 시기: 요한2서와 거의 비슷한 시기인 A.D. 90년경 , 요한이 알고 있던 교인들 중의 일원인 탁월한 그리스도인 가이오에게

3) 기록목적: 가이오의 따뜻한 대접을 칭찬하고 그의 경건한 생활을 격려함

4) 핵심인물: 요한, 가이오,디오드래배,데베드리오

 

유다서(1장)

1) 저자 : 이 책은 주 예수님의 육신의 형제였던 유다(마 13:55)가 기록하였다.
2) 장소 : 기록 장소는 예루살렘이거나 유대일 것이지만 어느 곳인지 확실하지는 않다
3) 시기 : 이 책에 분명히 나타난 교회의 타락한 상태는 베드로후서를 기록한 당시의 상태와 유사하므로
               예루살렘이 멸망한 주후 70년 이전인 주후 69년경에 베드로후서와 거의 동시에 기록했을 수 있다. 

4) 기록목적: 위험한 영지주의 이단 사상에 대해 계속적으로 경계하고 건전한 믿음을 고수할 것을 권고

5) 핵심인물: 유다, 야고보, 예수,세계 각지의 그리스도인

 

요한계시록(22장)

1) 저자 : 사도 요한이 썼다

2) 장소와 시기 : 이 책은 사도 요한이 밧모섬에 유배되어 있을 당시인 주후 90년경에 아시아에 있는                            일곱 교회들에게(1:1, 4, 9) 쓴 것이다. 

3) 기록목적: 그리스도의 영광이 충만된 모습을 제기함으로써 박해 받은 신자들을 격려하고 경고함

4) 핵심인물: 요한, 예수,세계 각지의 그리스도인

 출처: 이야기 천국|작성자:마라나타

 

 

 

 

출처 : 낮은 공간

 

 
 

 

'자료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자니아꽃, 초롱꽃  (0) 2019.07.06
다육이  (0) 2019.06.15
그리스 로마 신화 메모  (0) 2019.05.26
고 김홍일의 필적  (0) 2019.04.29
2019년4월 텃밭  (0) 2019.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