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Hubris, hybris(휘브리스, 하이브리스)라고도 쓴다.
고전 그리스 윤리·종교 사상에서 질서 있는 세계 속에서 인간의 행동을 규제하고 있는 한계를 불손하게 무시하는 자만 또는 교만을 일컫는 말이다. 보통 그리스 신화에서 자주 나오며, 가장 대표적인 휴브리스는 개인 단위로는 오이디푸스, 아라크네의 이야기를, 국가 단위로는 아틀란티스가 있다. 보통 이런 짓을 하면 복수의 여신인 네메시스가 찾아와 친히 뜨거운 맛을 보여주신다.[1]
아라크네의 이야기로 살펴보면 비교적 이해하기 쉽다. 아라크네는 베를 잘 짜는 것으로 유명했는데, 자신이 직물의 여신인 아테나보다도 실력이 뛰어나다고 주장했고 실제로 여신과의 대결에서 승리했다. 현재의 상식으로라면 다소 오만할지언정 실력으로 증명했으므로 큰 죄라고는 보기 힘들다. 하지만 고대 그리스의 상식에서는 아라크네가 인간의 한계, 신의 영역을 무시하고 위반한 휴브리스라는 대죄를 지은 것이었다. 그 결과 아라크네는 아테네의 분노로 인해 죽음을 맞이했다. 물론 사후 아테네가 돌연 가엾다며 거미로 환생시켜주기는 했다. 휴브리스 위반자들(오이디푸스, 이카루스 등)은 처참한 죽음만으로 끝나는게 일반적인데 아라크네는 굳이 동물로 환생시켰기 때문에 일종의 자비를 베풀었다고 보기도 한다.
물론 신의 위상을 넘보면 심판당한다는 개념은 그리스도교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으며, 칠죄종 가운데서도 가장 큰 죄악으로 여긴다. 하지만 '신을 모욕했다'는 일상적 문장이 아닌, 특별히 '휴브리스'라는 단어를 정립할 정도로 고대 그리스 사람들은 휴브리스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였다. 휴브리스는 일종의 상식과도 같았는데, 이 개념을 인식하고 그리스 로마 신화를 보면 많은 부분에서 휴브리스가 숨쉬듯 적용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현대 윤리와 상식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보면 오독을 할 여지가 큰 셈.
2. 역사학적 의미
이렇게만 보면 기존 질서를 파괴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보수적 내지는 꼰대스러운 의미로 쉽게 해석할 수 있지만 역사를 바꾸는 데 성공한 즉 새로이 대두해 기득권층이 된 다음 자만해 자멸하는 경우가 있으면 그것을 지칭하는 의미로 읽는 것이 맞다. 토인비는 도전과 응전이라는 말로 유명하다. 도전의 의미를 무시한 사람이 아니다.
3. 신화에서의 사례
<카시오페이아>
신화에 따르면 카시오페이아는 엄청난 미모의 소유자였으나, 자만심과 허영심이 강했다고 한다. 어느 날 그녀가 네레우스의 딸들인 네레이데스보다 자신과 딸 안드로메다가 더 아름답다며 떠들고 다니자, 이를 바닷속에서 들은 네레이데스는 화가 나 포세이돈에게 그녀에게 벌을 내려줄 것을 간청한다. 포세이돈도 자신의 미모를 자만한 나머지 신들을 우습게 여기는 카시오페이아의 행각이 못마땅했던지라 에티오피아에 바다 괴물을 보내 해일을 일으키는 등 여러 저주를 내렸다. 결국 케페우스와 카시오페이아는 저주를 막기 위해 신전에서 신탁을 구했는데, 에티오피아에 닥친 재난을 진정시키기 위해서는 딸 안드로메다를 제물로 바쳐야 한다는 신탁을 받고 결국 공주를 괴물에게 바치는 처지가 되었다.
하지만 그곳을 지나가고 있던 페르세우스 덕분에 괴물은 퇴치되고 안드로메다도 구출되었다. 그리고 둘의 결혼식에서 안드로메다의 약혼자 피네우스가 안드로메다를 빼앗긴 것에 화가 나 페르세우스를 죽이려고 하자, 페르세우스가 "내 편인 자들은 모두 눈을 감으라"라고 외치며 가지고 있던 메두사 머리를 이용해 그들을 돌로 만들어 버린다. 이후 카시오페이아의 행적에 대해선 두 버전의 전승이 있다.
먼저 돌이 되지 않았다는 전승에 따르면, 자기 편인 사람들은 눈을 감으란 페르세우스의 말을 듣고 위험을 직감한 뒤 남편 케페우스와 함께 눈을 감아서 돌이 되지 않았으며, 싸움이 끝난 후 페르세우스를 사위로 맞이했다. 이후 케페우스와 해로하다가 남편보다 먼저 세상을 떠났고, 케페우스는 세상을 떠나기 전 제우스에게 자신과 아내가 죽어서도 함께할 수 있게 해 달라는 소원을 빌었으며 제우스는 이를 받아들였다. 이후 케페우스도 죽은 후 아내와 함께 별자리가 됐고 오랜 세월이 흐른 뒤 페르세우스와 안드로메다 역시 죽어서 별자리가 됐으며, 그로 인해 카시오페이아는 남편과 딸, 사위와 함께 별자리가 되어서도 같이 지낼 수 있었다. 하지만 네레이데스의 분노가 완전히 사라진 건 아니라서 카시오페이아는 1년의 절반을 거꾸로 매달려 지내는 형벌을 받았다고 한다.
두 번째로 돌이 되었다는 전승에 따르면, 왕과 왕비는 미처 눈을 감지 못하여 메두사를 보고 돌로 변해버렸다. 이 모든 상황을 본 제우스는 그 최후를 너무나 안타깝게 여겨 하늘의 별자리로 만들어 주었지만, 그녀 자신의 오만함에 대한 벌로 1년의 절반을 거꾸로 매달려 지내야만 했다.
[오늘과 내일/윤완준]휴브리스, 대통령의 추락
https://www.donga.com/news/Opinion/article/all/20240412/124456570/1
'자료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지능 시대 농업 R&D, 고정관념 버려라 (0) | 2024.04.29 |
---|---|
카츄사 , 카투사 (1) | 2024.04.25 |
1 리터(L)는 몇 킬로(kg)일까 (0) | 2024.04.13 |
발바닥 신경 (0) | 2024.04.05 |
선행(先行學習)중독 끊기 (0) | 2024.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