學問(2)
★ 宰子晝寢이어늘 子曰 朽木은 不可彫也며 糞土之牆은 不可杇也니 於予與에 何誅리오.( 논오 공야장편) 재자주침 자왈 후목 불가조야 분토지장 불가오야 어여여 하주 재여가 낮잠을 자자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썩은 나무는 조각할 수 없고, 썩은 흙으로 쌓은 담장은 흙손질을 할 수가 없다. 내가 재여에게 무엇을 꾸짖겠는가?" 라고 하셨다. [글자풀이] 宰子: 공자의 제자 予: 나 여, 朽: 썩을 후, 彫: 새길 조, 糞:똥 분, 여기서는 썩다는 뜻, 牆: 담 장, 杇: 흙손 오, 予: 나 여, 1인칭 대명사 與:줄 여, 何:어찌 하, 誅:벨 주, 꾸짖는다는 뜻임 [의미] 공자께서 제자를 심하게 꾸짖는 것은 보기 드문 일이다. 하지만 학문을 중요하게 생각했던 공자께서는 게으름을 피우는 제자를 용납할 수 없었던 것이..
忠
◆ 子曰 主忠信하며 毋友不如己者요 過則勿憚改니라. ( 논어 학이편 ) 자왈 주충신 무우불여기자 과특물탄개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진심을 다하는 자세(忠)와 믿음(信)을 중심으로 삼고, 자기보다 못한 사람을 친구삼지 말고, 허물이 있으면 고치기를 꺼리지 말라." [글자풀이] 子: 아들 자, 높임말로 '선생님'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子曰'은 공자의 말씀을 인용할 때 사용함 毋:말 무, 없을 무, 금지사로 사용됨, 不如: ~와 같지 않다. ~만 못하다. 子: 놈 자, 사람을 뜻함, 過: 허물 과, 지날 과, 則: 곧 즉, 법칙 칙, 勿: 말 물, ~하지 말라. 금지사로 사용됨 憚:꺼릴 탄 改:고칠 개 [의미] 충은 자기의 진심을 다하는 마음이요, 신은 말에 대한 실천을 의미한다. 사람은 모든 일에 진심을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