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 소개

(365)
십장생(十長生), 일월오봉도(日月五峰圖) 십장생(十長生, 영어: Ten Symbols of Longevity)은 열 가지 장생 불사를 표상한 것이다. 이에 해당하는 물상은,   해 · 산 · 물 · 돌 · 구름(또는 달) · 소나무 · 불로초 · 거북 · 학 · 사슴 또는 대나무이다.   민속신앙이나 신선사상에서  유래됐다고 여겨지며, 이 모두가 장수물이므로 자연숭배의 대상이다.  옛날에는 시문, 그림, 조각 등으로 많이 사용되어왔다. 또한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종종 모습을 드러내어 고구려 시대때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듯하다.사람들은 십장생을 바라보면서 장생을 소망하였다. 십장생문십장생문(十長生紋)은 십장생을 새기거나 그린 무늬를 가리키며 십장생을 모티브로 하는 그림등을 가리키거나 그러한 그림속에 등장하는 그림이나 무늬를 가리킨다. 특히 십장생(..
용(龍) 몸 구성 * 에 근거낙타 머리, 사슴 발, 토끼 눈, 소 귀, 뱀 이마, 돼지 코, 이무기 배에 조개껍데기, 물고기 비늘(뱀의 비늘) 81개,매 발톱(7개 발톱:황제,5개 발톱:왕, 4개 발톱:귀족),호랑이 손(발)바닥, 잉어 수염, 사슴 뿔, 화제(畵題) :운룡(雲龍), 승룡(昇龍), 쌍룡(雙龍), 구룡(九龍), 황룡(黃龍:권력), 창룡(蒼龍), 신룡(神龍) ,흑룡(黑龍:비,구름 기우제), 청룡(靑龍: 동쪽 수호신) 등 표현기법:1. 구륵전체법(鉤勒塡彩法) :정의형태의 윤곽을 선으로 먼저 그리고, 그 안을 색으로 칠하여 나타내는 화법. 구륵전채법·구륵착색법·구륵선염법·쌍구법내용구륵전채법(鉤勒塡彩法)의 준말로, 구륵착색법(鉤勒著色法)·구륵선염법(鉤勒渲染法) 또는 쌍구법(雙鉤法)이라고도 한다.중국의 당대(唐代) ..
전술 핵무기 & 전략 핵무기 전술 핵무기(戰術核武器, 영어: tactical nuclear weapon, TNW, non-strategic nuclear weapon)는 전술적으로 운용되는 핵무기를 말한다.개요1970년대 중반까지는 근거리 군사목표를 공격하기 위한 핵무기체제를 가리켰다. 즉, 핵탄두를 발사할 수 있는 각종 화포와 핵탄두를 운반할 수 있는 지대지·공대지·지대공·지대함·함대지·함대공·공대함·함대함 미사일 등과 핵지뢰·핵어뢰 등이 이에 해당하는데 핵탄두는 통상 kt급이었다.1970년대 후반 이후 사정거리가 전략 핵무기보다는 짧고 전술 핵무기보다는 긴 중거리 미사일 체제가 급속히 확산되어, 이전의 전술 핵무기는 전장(戰場) TNW(전역 핵무기)라고 지칭되기도 하며 전역 핵무기에 통합, 분류되기도 했다.한반도 전술핵주한미군에..
방선균 Actinomyces 放線菌 두산백과방선균[ Actinomyces음성듣기 , 放線菌 ][요약 ] 토양·식물체·동물체·하천·해수 등에 균사체 및 포자체로 존재하는 미생물로 세균에 가까운 원핵생물 즉 세균의 방선균목으로 분류된다. 세포의 크기가 세균과 비슷하며 세포가 마치 곰팡이의 균사처럼 실 모양으로 연결되어 발육하며 그 끝에 포자를 형성한다. 토양 중 방선균은 각종 유기물의 분해, 특히 난분해성 유기물 분해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항생물질을 만들기도 한다. 또한 소에게는 방선균병을 일으키기도 한다.방사상균(放射狀菌)이라고도 한다. 한때는 곰팡이와 세균의 중간에 위치하는 미생물 또는 세균과 사상균의 양쪽에 속하는 미생물로 간주되었으나, 현재는 세균에 가까운 원핵생물 즉 세균의 방선균목으로 분류하고 있다. 토양·식물체·동물체·하천·해수 ..
어드밴스드 패키징(AVP) 반도체 패권 경쟁 속 미국의 다음 스텝은? 어드밴스드 패키징(AVP)  美 상무부, 30억 달러 규모 반도체 어드밴스드 패키징(AVP) 제조 프로그램 시행 발표미국 내 후공정 패키징산업 생태계 구축 통한 우위 점유 계획반도체 제조 공정은 웨이퍼를 제조하고 노광, 식각, 증착 등을 통해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새기는 전공정(Front-end)과 검사(Test) 및 패키징(Packaging)을 포함하는 후공정(Back-end)으로 나뉜다. 최근까지의 반도체 기술은 반도체 칩의 집적도(집적회로 내에 포함되는 소자수)가 2년마다 약 2배씩 증가한다는 ‘무어의 법칙(Moore's Law)’을 충실히 따르며, 나노(10억 분의 1미터) 단위의 초미세공정 실현을 위한 전공정 단계의 기술 혁신에 주력해 왔다. 하지만 반..
인공지능 시대 농업 R&D, 고정관념 버려라 농민신문 2024년 4월22일 월요일자 18면 오피니언 경제산책 안현실(서울대 공학전문대학원 객원교수)AI가 세상 바꿔 ··· 모두 혁신가    미래농업 관점에서 재해석을창업 뒷받침할 금융투자 필요     벤처캐피털 유인책 마련 시급 산학연 중심 혁신도 이미 깨져    농민이 새로운 주체로 나서야     일본에서 '당신이 알고 있는 상식의 99%는 거짓말' 이라는 책이 나와 눈길을 끈다. 대전환은 '질서의 교체'다. 기존 질서를 이끌어온 개인·기업·산업·국가가 대거 사라지고 새로운 질서를 만드는 주인공들이 출현한다. 질서의 교체는 '상식의 교체'다. 새로운 질서에서는 우리가 알고 있던 '상식'이 '비(非)상식'이 되고, 비상식이 상식이 된다. '비상식의 상식화'는 '게임 체인지'를 가장 쉽게 풀어낸 정의..
카츄사 , 카투사 1. 인명키릴문자: Катюша라틴문자: Katyusha러시아권에서 여성의 이름으로 흔히 쓰이는 단어. 예카테리나의 애칭이다.  레프 톨스토이의 소설 부활>의 여주인공 이름[1]으로 유명하다.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카튜샤'로 적어야 한다.[2]키릴 문자 Катюша가 알파벳 katiowa(카티오와)와 닮아, katiowa의 연관 검색어로 등장한다.  [1] 풀네임은 예카테리나 미하일로브나 마슬로바. 사생아라서 미하일이 친부 이름은 아니며(러시아에선 친부가 누군지 모르면 부칭이 들어갈 자리에 대부 또는 수호성인 이름을 집어넣는다), 마슬로바는 생모의 성이다. [2]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ㅈ, ㅉ, ㅊ 다음에 /j/ 발음이 포함된 이중 모음이 오는 것을 인정하지 않으므로 '츄'는 나올 수 없는 표기이며(ㅈ,..
휴브리스(Hubris) 1. 개요 ὕβρις Hubris, hybris(휘브리스, 하이브리스)라고도 쓴다. 고전 그리스 윤리·종교 사상에서 질서 있는 세계 속에서 인간의 행동을 규제하고 있는 한계를 불손하게 무시하는 자만 또는 교만을 일컫는 말이다. 보통 그리스 신화에서 자주 나오며, 가장 대표적인 휴브리스는 개인 단위로는 오이디푸스, 아라크네의 이야기를, 국가 단위로는 아틀란티스가 있다. 보통 이런 짓을 하면 복수의 여신인 네메시스가 찾아와 친히 뜨거운 맛을 보여주신다.[1] 아라크네의 이야기로 살펴보면 비교적 이해하기 쉽다. 아라크네는 베를 잘 짜는 것으로 유명했는데, 자신이 직물의 여신인 아테나보다도 실력이 뛰어나다고 주장했고 실제로 여신과의 대결에서 승리했다. 현재의 상식으로라면 다소 오만할지언정 실력으로 증명했으므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