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漢字와 漢文공부

詩曰 父兮生我하시고 母兮鞠我하시니 哀哀父母여 生我劬勞삿다 欲報深恩인데 昊天罔極이로다.

시왈 부혜생아             모혜국아              애애부모     생아구로          욕보심은         호천망극

 

- 「명심보감」 효행편

 

[해석] <시경>에서 말했다. " 아버지가 나를 낳으시고 어머니여 나를 기르시니, 슬프고 슬프도다 부모님이여! 나를 낳아 기르시느라 힘쓰고 수고 하셨도다. 깊은 은혜를 갚고자 한다면 넓은 하늘과 같아 끝이 없도다."

 

[글자 풀이]  詩 : 유가의 경전인 <시경(詩經)>을 말한다.

兮:어조사 혜,  鞠: 기를 국,  劬:수고로울 구 , 昊:하늘 호, 罔:없을 망, 極:다할 극 

 

[의미] 부모보다 소중한 존재는 없다. 낳고 기른 것은 물론 자신을 희생하며 자식을 위해 모든 것을 바치는 것이 부모다. 청소년기에는 부모에 대한 반항심도 있지만 이를 잘 극복하여 부모의 은혜를 생각하고 항상 공경하며 효도를 다해야 한다.

 

 

子曰 孝子之事親也는 居則致其敬하고 養則致其樂하고 病則致其憂하고 喪則致其哀하고 祭則致其嚴이

자왈 효자지사친야     거즉치기경          양즉치기락        병즉치기우          상즉치기애         제즉치기엄

 

니라. - 「명심보감」 효행편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 효자가 어버이를 섬길 적에, 거처할 때에는 그 공경을 다하고, 봉양할 때에는 그 즐거움을 다 하고, 병이 들었을 때에는 그 근심을 다하고, 돌아가신 때에는 그 슬픔을 다하며, 제사지낼 때에는 그 엄숙함을 다한다."

 

[글자 풀이] 孝:효도 효, 事:섬길 사, 親:어버이 친,친할 친, 則:곧 즉, 법칙 칙   致:다할 치,이를 치,  憂:근심할 우, 喪:죽을 상,

哀:슬플 애, 祭:제사 제, 嚴:엄할 엄

 

[의미] 효도란 살아계실 때는 공경스런 태도와 즐거운 마음으로 부모를 모시는 것이며, 몸이 편찮을 때에는 정성을 다해 간호하고, 돌아가신 뒤에도 부모의 뜻을 잘 받들어야 하는 것이다. 효도는 모든 행실의 근본이기 때문에 잊지 말고 실천해야 한다.

 

子游問孝한대 子曰 今之孝者는 是謂能養이니 至於犬馬하여도 皆能有養이니 不敬이면 何以別乎리오.

자유문효          자왈금지효자      시위능양         지어견마             개능유양          불경         하이별호

 

-「논어」위정편

 

[해석] 자유가 효에 대해서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 오늘날 효라고 하는 것은 물질적인 봉양만을 말하는데 개와 말과 같은 동물들도 모두 사람이 길러주고 있으니 공경하지 않는다면 무엇으로 구별하겠는가? " 라고 하셨다.

 

[글자 풀이]  자유:공자의 제자   游:놀 유,  是:이 시, 지시대명사,  謂:말할 위, 能:능할 능, ~할 수 있다. 不:아니 불, 부정사

何:어찌 하, 別:다를 별, 乎:어조사 호, 의문 부사.

 

[의미] 많은 사람들이 돈을 벌면 부모에게 효도할 것이라고 말한다. 물질적으로 부모님을 편안하게 한다는 뜻이다. 이것도 중요한 효도의 한 방법이다. 그러나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부모의 마음을 편안하게 하는 효도의 방법을 찾아야 한다. 집안에서 키우는 애완견이나 동물들에게 물질적으로 먹이를 주는 것과 부모님께 물질적으로 풍요롭게 하는 것은 차이가 없다. 따라서 공경하고 존경하는 마음으로 부모님을 모시는 것이 더 중요한 효도이다.

 

子曰 事父母하되 幾諫이니 見志不從하고 又敬不違하며 勞而不怨이니라.

자왈  사부모         기간         견지부종          우경부위         노인불원     - 「논어」 이인편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 부모를 섬기되 조심스럽게 간언해야 하는 것이니, 부모의 마음이 내 말을 받아주지 않음을 보고서도 더욱 공경하여 어기지 않으며 수고스럽더라도 원망하지 않아야 한다." 라고 하셨다.

 

[글자 풀이] 幾: 기미 기, 諫:간할 간, 從:좇을 종, 又:또 우, 違:어길 위, 勞:일할 로, 怨:원망할 원

 

 

子曰 父母之年은 不可不知也니 一則以喜요 一則以懼니라.

자왈  부모지년은 불가부지야     일즉이희     일즉이구  - 「논어」 이인편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부모의 연세는 알지 않아서는 안 된다. 한편으로는 기쁘고 한편으로는 두렵기 때문이다." 라고 하셨다.

 

[글자 풀이] 年:해 년, 나이를 뜻함,  可:옳을 가, ~할 수 있다.  喜:기쁠 희, 懼:두려워할 구

 

[의미] 자식으로서 부모의 연세도 알지 못하고 생신도 모르는 사람이 많다. 부모가 오래 사시면  자식으로서 기쁜 일이지만 한편으로는 연세가 드시면 건강도 악화되고 돌아가실 날이 가깝기 때문에 슬픈 일이다. 부모의 연세가 많아질수록 자식은 부모이 건강을 돌보고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