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노트

仁(어질 인)

공자 영정

顔淵이 問仁한대

子 曰 克己復禮爲人이니 一日 克己復禮면 天下歸仁焉하나니 爲仁이 由己니 而由人乎裁아

顔淵이 曰 請問其目하노이다.

子 曰 非禮勿視하며 非禮勿聽하며 非禮勿言하며 非禮勿動이니라.

顔淵이 曰 回雖不敏이나 請事斯語矣리이다.《논어 안연1》

 

안연이 문인한대

자 왈 극기복례위인이니 일일 극기복례면 천하귀인언하나니 위인이 유기니 잉유인호재아

안연이 왈 청문기목하노이다.

자 왈 비례물시하며 비례물청하며 비례물언하며 비례물동이니라.

안연이 왈 회수불민이나 청사사어의리이다.《논어 안연1》

 

*譯(역)

안연이 인에 대하여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자기의 사욕을 이겨 예로 돌아감이 인(仁)을 하는 것이니,

하루라도 사욕을 이겨 예로 돌아가면 천하가 인으로 돌아갈 것이다.

인을 이루는 데는 나로부터 비롯되는 것이니 어찌 남으로부터 비롯될 것인가?"

안연이

"그 조목을 묻겠습니다." 하고 말하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예가 아니면 보지를 말고, 예가 아니면 듣지도 말며, 예가 아니면 말도 하지 말며 예가 아니면 행하지 말 것이다."

안연이 말하였다.

"제(回)가 비록 불민하오나 청컨대 이 말씀에 종사하겠습니다."

 

* 仁의 창제 원리는 바로 '사람의 마음'이며 사람의 마음이란 바로 다른 사람을 걱정하고 위하는 마음이다.

그래서 맹자도 仁이란 남을 어여삐 여기는 측은지심(惻隱之心)이 바로 그 시작점이라 했다.

  공자와 맹자가 주창했던 통치철학인 仁政(인정)이란 仁의 글자 해석에서 볼 수 있듯 남을 생각하고

어여삐 여기는 정치를 말한다. 정치뿐만이 아니다. 자신의 이익 혹은 자신을 챙기는 것보다는 남을 먼저

생각하는 대승적 자세가 우리 인간의 본성을 지키는 것이 아니겠는가?

                                    ---연상 한자: 문화 속에 녹아 있는 한자 뿌리 읽기, 하영삼 지음, 예담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