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노트 (37) 썸네일형 리스트형 백악관을 걸어 나온 대통령-트루먼[ Harry S. Truman] 미국의 트루먼 대통령은 매우 검소하고 강직한 사람이었습니다. 트루먼이 대통령 임기를 끝내고 대통령 자리에서 물러나던 날, 그는 고향인 디펜더스로 돌아가기 위해 백악관에서 정거장까지 걸어가겠다고 보좌관에게 말했습니다. 보좌관이 당황하여, "각하, 승용차로 모시겠습니다." 하고 말씀드리자, "그게 무슨 말이야, 공과 사를 분명히 해야지 ! " 하고 끝내 걸어갔습니다. 트루먼은 또 이런 말을 했습니다. "나는 대통령직에 있는 동안 백악관에 머물러 있을 뿐이다. 또 내가 대통령이라고 해서 뭔가 뛰어난 특별한 사람이라고 생각해 본 적이 없다 내가 미국 국민의 한 사람이라는 것과 내가 이 곳을 떠나면 반드시 고향으로 돌아갈 것을 늘 명심하고 있었다. 백악관의 모든 것은 미국 국민의 것이며, 다만 내가 잠시 동안 사.. 黃絹幼婦 外孫虀臼-絶妙好辭(황견유부 외손제구-절묘호사) 조조(曹操)의 부하 주부(主簿) 양수(楊修)가 풀이한 글-삼국지(나관중 지음 이문열 평역)10권 중 제8권47쪽~48쪽) 먼저 황견(黃絹)을 풀이하면, 황견은 얼굴빛이 나는 실(絲)로 짠 비단입니다. 결국 실(絲)에 색깔(色)이 있으니 합치면 이 됩니다. 또 유부(幼婦)는 나이 어린(少) 여자(女)이니 둘을 합치면 가 되지요. 따라서 황견유부(黃絹幼婦)는 하다는 뜻을 감춰 쓴 글입니다. 외손제구(外孫虀臼)도 마찬가지로 풀이하면, 외손(外孫)은 딸(女)이 낳은 아들(子)이니 합쳐 호(好)가 되고, 제구(虀臼)는 다섯 가지 맵고 신 것을 담는 그릇이니 담을 수(受) 자에 매울 신(辛)을 더하면 자가 됩니다. 곧 외손제구(外孫虀臼)는 가 됩니다. 다 합쳐 풀이하면, 결국 절묘호사(絶妙好辭), 다시 말해 "썩 .. 제갈량의 초려(草廬)에 걸린 글씨 淡泊以明志(담박이명지) 욕심 없는 마음으로 뜻을 밝게 하고 寧靜以致遠(녕정이치원) 평안하고 고요함으로 먼 데를 헤아린다 *유비가 관우와 장비를 대동하고 제갈량을 모시러 두 번째 찾아갔을 때 집안으로 들어서면서 읽은 글씨 -이문열 삼국지 10권중 5권134쪽에서 *와룡강(臥:누울 와,龍:용 룡,岡:언덕 강):제갈량이 사는 곳 三國志 다시 읽기 옛날에 남들 읽는 삼국지를 읽긴 읽었었는데 내용은 유비,관우,장비,조조,제갈공명,여포 등을 빼면 그저 가물가물하기만 했다. 처음엔 단권을 읽었던가? 나중에 5권짜리를 읽었던 것같고, 이번엔 이문열 작가의 10권짜리를 읽기 시작했다. 새롭고 흥미롭고 이해가 깊어지는 그런 걸 느낀다. 옥새(玉璽:구슬 옥, 옥새 새) 옥새:국권의 상징으로 국가적 문서에 사용하던 임금의 도장 *삼국지에서 얻은 한나라 옥새에 새겨졌던 글귀 受命於天 (수명어천 ) 명을 하늘로부터 받았으니 旣壽永昌 ( 기수영창 ) 오래 가고 길이 번창하리라. 적토마(赤兎馬):삼국지, 여포가 동탁으로부터 선물 받은 말 奔騰千里蕩盡埃(분등천리탕진애: 달릴 분, 오를 등, 일천 천, 이수 리, 쓸어버릴 탕, 다할 진, 티끌 애) 천리를 치달아 자욱이 이는 먼지 渡水登山紫霧開(도수등산자무개: 건널 도, 물 수, 오를 등, 메 산, 자주빛 자, 안개 무, 열 개) 물 건너고 산 오를 제 자주 안개가 열리네 掣斷絲韁搖玉轡(철단사강요옥비: 당길 철, 끊을 단, 줄 사, 고삐 강, 흔들 요, 구슬 옥, 고삐 비) 매인 줄 당겨 끊고 옥고삐 흔드니 火龍飛下九天來(화룡비하구천래: 불 화, 용 룡, 날 비, 아래 하, 아홉 구, 하늘 천, 올 래) 불 뿜는 용 하늘에서 날아 내리는 듯 싶네 세계 위인전 Who? 리처드 파인만 Richard Phillips Feynman 세계 위인전 Who? 리처드 파인만 <연표> 1918년 5월11일 미국 파 락어웨이에서 태어남 1930년 12세 미적분학을 독학으로 깨우침 1940년 22세 메사추세츠 공과 대학교에 입학함 1941년 23세 첫사랑 아플린과 결혼함. 핵무기 개발 연구인 맨해튼 프로젝트에 참여함 1942년 24세 &.. 조선회화실록 도판(16~27) 16-1. <길주과시도 吉州科試圖>,<북새선은도 北塞宣恩圖>,,한시각,1664년,비단에 채색,57.9 × 674.1 cm,국립중앙박물관 16-2. <함흥방방도 咸興放榜圖>,<북새선은도 北塞宣恩圖>, 한시각, 1664년, 비단에 채색, ,57.9 × 674.1 cm, 국립중앙박물관 17-1. <송시열 초상 宋時烈 肖像>, 1.. 이전 1 2 3 4 5 다음 목록 더보기